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301010000007

영남일보TV

파국으로 끝난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트럼프, 젤렌스키에 언성 높여

2025-03-01 11:28
파국으로 끝난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트럼프, 젤렌스키에 언성 높여
2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르카리아 대통령 회담이 예상과 달리 마찰을 빚으며 파국으로 끝났다. <연합뉴스 제공>

2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르카리아 대통령 회담이 예상과 달리 마찰을 빚으며 파국으로 끝났다. 평소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성격과 친러시아 성향을 고려하더라도 충격적인 상황이 벌어지면서, 트럼프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외교는 난관에 봉착했다.

1일 외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28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방문이 영광이라고 했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는 우리 편이라고 생각한다"며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 회담이 시작됐다.

하지만 회담이 40여분 진행된 시점에서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지원없이 항전을 이어가기 어려운 우크라이나가 '양보'해 조기에 종전을 이뤄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러시아로부터 영토 침공을 당한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연대감 표현이나 대러시아 비판은 없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불법으로 병합한 이후 체결된 민스크 평화협정을 위반하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사실을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우크라이나 종전 구상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현장에 있는 언론 앞에서 "무례하다" 등 발언으로 거칠게 비판했다. 하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압박에 굴하지 않고 러시아와 휴전하려면 재차 침공을 막을 확실한 안보 보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결국 50분 만에 백악관에서 내쫓겼다.

통상 정상회담에서는 서로 이견을 최대한 노출하지 않고 외교적 수사로 부드럽게 표현하는 게 관행이다. 특히 지금까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주요국 정상 모두 보복을 두려워하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찬사를 쏟아내고 갈등을 빚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면서 트럼프의 심기를 거스른 셈이다.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정상회담이 시작하자마자 파국을 맞으면서 트럼프 대통령 종전 외교의 향배에 쏠린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지켜보는 자국민 앞에서 '기백'을 보여줬으나, 미국의 지지와 지원없이 대러시아 항전을 장기간 이어가기는 어렵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대체적인 평가다.

유럽의 지원이 있지만 그 역시도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결국 일정한 냉각기를 보낸 뒤 다시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과의 합의를 모색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지만 이날 설전을 통해 드러난 입장 차이가 조기에 봉합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남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