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민 "짜고 치는 고스톱에 당했다" 격분
특정지역 선정에 들러리 한탄
![]() |
박봉규 대구 군부대 유치 추진 위원장이 공정성 문제 제기 및 재평가 촉구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영천시 제공> |
"대구 군부대 이전 후보지 최종 선정은 결국 짜고 치는 고스톱으로 끝났다"
"애당초부터 군위를 제외한 지역은 들러리에 불과하며 홍준표 시장에게 당했다"는 등 영천시민들의 격분이 이어지고 있다.
경북도청 유치, 혁신도시 유치, 대구공항 유치 포기 등에 이어 대구 군부대 유치에 실패한 영천시민들은 정치적 판단에 희생되고 있다며 대구시의 특정지역 밀어주기에 분노하며 말투가 거세지고 있다.
박모(영천시 문내동)씨는 "국토 방위와 국민의 안보가 걸린 국가백년대계를 홍준표 시장이 결정할 수 있나"며 "국방부가 공정하게 재평가를 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군 출신인 이모(영천시 야사동)씨는 후보지 선정과정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상실했다며 철도도 없는 곳에 군부대와 장병들을 이주시키는 것은 국방에 대한 상식이 전혀 없는 짓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대구 군부대 영천 유치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5일 오후 2시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결과 발표 브리핑을 통해 '대구 군부대 통합 이전에 대해 공정성 문제 제기 및 재평가 촉구 성명서'를 발표했다.
추진위는 "대구 군부대 이전 후보지 선정 과정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상실한 채 특정 지역에 편중된 평가가 이루어졌음이 명백히 들어났다"며 "평가 기관을 대구광역시가 출연한 대구정책연구원이라는 점에서 공정한 평가가 의심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홍준표 시장이 지난 2023년 10월 4일 공식 석상에서 '대구 군부대 통합 이전사업은 대구시가 통제 가능한 지역으로 이전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 발언하는 등 사실 군위군 이전 추진을 공식화 했다"고 격분했다.
게다가 첫째 특정 지역에 편중된 평가지표는 특정 지역에 유리하도록 조작된 정황이 있다며 평가 항목 중 비중이 높은 사업비(40점)의 평가내용에서 보상비 차이를 점수화 하는 방식이 채택됐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즉 밀리터리타운과 과학화 훈련장은 대부분 임야로 공시지가가 비슷하지만 민군상생타운은 시가지에 조성되는 만큼 지역별 공시지가(영천 10만5천400원, 상주 3만1천원, 군위 6만6천800원)가 극심한 데 사업성 중 보상비로만 평가 기준을 수립한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둘째 주민 수용성 못지않게 군 선호도도 중요한 지표인데 사전 설명 없이 평가기간중(2월 27일) 공문으로 해당 지표 기준을 통보한 것과 평가지표 점수를 국방부에서 이미 반영되었다는 이유로 3개 지자체에 동일(10점)하게 부여한 것은 대구시에서 임의대로 지표를 수정했다는 점은 강한 의혹이라고 강조했다.
박봉규 대구시 군부대 영천 유치 추진위원회 공동회장은 "무엇보다 국토방위와 국민의 생명을 좌우하는 군부대 이전 최종 결정은 국방부 몫"이라며 "사전 특정 후보지를 염두에 두고 퍼즐을 맞춘 대구시가 후보지를 선정하는 것은 형평성이 맞지 않다 국방부가 직접 재평가를 실시하여 공정한 절차를 보장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유시용기자 ysy@yeongnam.com

유시용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