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대·중견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 |
게티이미지뱅크. |
![]() |
2023년 vs 2024년 협력사 ESG 평가결과로 인센티브/페널티 적용하는 기업 비율. <중기중앙회 제공> |
상장사 10곳 중 4곳이 계약이나 거래를 할 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상장 대·중견기업 199개사가 지난해 자율공시한 지속가능 경영보고서와 협력사 행동 규범을 분석한 '대·중견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해 10월 22일까지 KRX ESG포털에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자율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계약과 거래 때 ESG 평가 결과를 활용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업 비중이 42.2%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보다 19.9%포인트, 약 두 배 증가한 수치다. 녹색구매, 공정거래 준수 등 ESG관련 정책을 구매시스템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구매 시 반영하는 기업도 52%에서 78.9%까지 약 27% 포인트 증가했다.
실질적인 ESG 수준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인증 지원(16.6%)과 설비투자 등 하드웨어 지원(18.1%)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력사 지원에 있어서는 ESG 교육과 컨설팅이 전년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협력사 ESG 촉진을 위해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기업비율은 31.7%로 나타났지만, 페널티를 적용하는 기업도 29.6%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중기중앙회는 대기업의 상생 노력 확대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불과 1년사이 ESG의 영향력이 커진 반면, 협력사의 ESG수준을 끌어올릴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업 비율도 높다고 진단했다.
중기중앙회 대구지역본부 관계자는 "국내외 ESG규제환경 변화에 따른 대기업의 ESG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대중기 ESG 상생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업종별 맞춤형 ESG 툴킷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