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306010000674

영남일보TV

[신간] 여사장의 탄생…韓 전쟁 후 경제 주체로 뛰어든 여사장의 발자취

2025-03-07

극한 위기 속 가족 생계 위해 장사
사회적 시선·다양한 제약 등 이해
현대 청년 여성으로 이어진 활약

[신간] 여사장의 탄생…韓 전쟁 후 경제 주체로 뛰어든 여사장의 발자취
'여사장의 탄생'은 한국 경제사에서 그동안 누락되었던 '여사장'의 존재에 주목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신간] 여사장의 탄생…韓 전쟁 후 경제 주체로 뛰어든 여사장의 발자취
김미선 지음/마음산책/252쪽/1만7천원

이화여대 연구교수, 여성학 박사인 김미선의 신간 '여사장의 탄생'이 출간됐다. 전작 '명동 아가씨'에서 남성 문인의 공간으로 호명되던 명동을 여성의 공간으로 다시 읽어냈던 김미선은, 신간 '여사장의 탄생'을 통해 한국 경제사에서 그동안 누락되었던 '여사장'의 존재에 주목한다.

그동안 '여사장'은 사장이라는 직책 때문에 여성 노동사에서 쉽게 배제되었으며, 한편으로 대규모 사업체의 사장은 대개 남성이라는 편견 탓에 한국 경제사에서도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여사장의 탄생'은 이렇듯 '이중의 배제'에 놓인 한국 여사장의 흔적을 발굴하고, 일하는 여성의 역사를 다시 쓰기 위한 시도이다. '여사장의 탄생'은 저자가 이화여대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상한 박사논문을 기반으로, 이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논의의 범위를 확장해 집필한 단행본이다.

이 책의 1부와 2부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어지는 한국 여사장의 변천사를 담는다. 여사장의 탄생과 그들이 주체적인 경제인으로 자리잡는 과정을 따라가는 저자의 시선은 3부에서 현대 청년 여성들에게로 이어진다.

집안의 딸, 아내, 어머니, 며느리로서 가사와 일을 병행하면서도 자신이 번 소득마저 때때로 내주어야 했던 옛 여사장들의 곤란함과 고생은 성별 임금 격차와 직장 내에서 벌어지는 젠더 폭력을 거부하고 창업을 선택하는 현대 청년 여성의 삶과 공명한다.

특히 이 책은 한국 여성 경제사의 빈틈을 메우는 동시에, 오늘날을 살아가는 청년 여성에게 새로운 시각을 선사한다. 저자 김미선은 여사장이 탄생하게 된 배경에 한국전쟁이 자리한다고 설명한다. 전쟁이라는 극한의 위기로 가정에서 경제활동을 담당하던 남성이 사라지고 나자, 여성은 남은 가족과 자신의 생계를 위해 장사에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1950년대의 여성들이 피란을 떠나거나 월남을 오면서 낯선 '돈벌이'의 세계에 부딪히고, 그들이 겪은 경험은 저자가 직접 채록한 당대 여사장들의 구술 자료로 되살아난다. "내가 그때 피란을 가서 길바닥에서 양장점을 한 적도 있잖아. (…) 길바닥에 있는데, 내가 좌판하던 바로 뒤에 집이 있었는데. 자기 집 앞의 길바닥에서 양장점을 한다고, 장사를 한다고 막 뭐라고 하는 거야."(본문 61쪽, '장사하는 여성의 등장'에서)

또한 저자는 여사장을 다룬 당대의 신문 기사, 영화, 소설을 분석하며 시대의 의식과 무의식을 독해해나간다. 개인의 기억이 담긴 목소리와 사회 분위기가 반영된 문화적 사료를 두루 살펴봄으로써, 이전에 기록되지 못했던 '여사장'의 안팎을 역사화한다.

여기에다 '여사장의 탄생'은 '자기 고용(self-employed)', 즉 자기 자신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일해온 여성들이 내몰렸던 형편, 직면했던 사회적 시선을 복원해 독자의 눈앞에 펼쳐낸다. 이들이 사업을 시작하며 어떤 분야를 선택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이들은 사회적으로 어떤 시선을 받았고 어떻게 그 시선을 내면화하거나 돌파했는지가 담겨 있다.

저자는 여사장을 둘러싼 다양한 제약을 이해하고 의문을 제기하는 데에서 변화의 씨앗을 모색할 수 있다고 말한다. 거리와 시장에서 홀로 물건을 파는 여사장, 자신의 점포를 마련해 미용실이나 양장점을 운영하는 여사장, 해외의 물품을 수입하거나 수출하는 여사장, 대기업을 운영하는 여사장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자기 자신을 고용했던 '여사장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남성 중심적 역사 서술이 놓친, 미래 경제 주체로서 여성의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임훈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