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327028103738

영남일보TV

사람도 없던 밤 산중에…대구 달성군 함박산 ‘의문의 불씨’

2025-03-27 08:21

정규 등산로 벗어난 고지대서 발생…인위적 개입 가능성도 배제 못 해
밤사이 확산 막았지만 발화 원인 ‘안갯속’… 주목받는 정밀 조사

사람도 없던 밤 산중에…대구 달성군 함박산 ‘의문의 불씨’

27일 오전, 대구 달성군 함박산 산불 현장 인근에서 산림청, 소방본부, 지자체 관계자들이 진화작업을 위한 상황 점검과 작전 회의를 하고 있다. 붉은색 진화복을 착용한 인력들이 대거 투입돼 현장 정비와 잔불 진화에 나섰다. 강승규 기자

사람도 없던 밤 산중에…대구 달성군 함박산 ‘의문의 불씨’

27일 오전, 대구 달성군 함박산 산불 현장 인근에 설치된 '산불 현장 통합지휘본부' 텐트. 산불조심 차량과 함께 현장 상황을 통제하고 진화 작전을 조율하는 임시 지휘소 역할을 하고 있다. 강승규 기자

대구 달성군 송해공원 인근 함박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발생 지점과 시간대가 이례적이라는 점에서 원인 규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산불은 해가 완전히 진 지난 26일 오후 7시 29분쯤 화원읍과 옥포읍 경계에 있는 함박산(해발 432.5m) 8부 능선 부근에서 시작됐다.

해당 지점은 일반 등산객들이 잘 접근하지 않는 외곽부로, 평소 인적이 드문 지역이다.

특히 야간에는 시야 확보가 어렵고, 접근 자체가 쉽지 않아 인위적인 불씨 유입 가능성이 낮아 보이면서도, 동시에 의도적 개입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산불은 통상적으로 봄철이나 건조한 날씨에 등산객의 부주의로 인해 낮 시간대, 주로 등산로 인근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번 산불은 이런 일반적인 패턴과 달리 △사람 왕래가 거의 없는 장소에서 △야간 시간대에 시작됐다는 점에서 '이례적 발화' 사례로 분류되고 있다.

소방당국 등은 “불씨가 자연적으로 발생할 만한 특별한 기상 조건도 없었고, 해당 지역은 등산객의 주 이용 구간이 아니어서 단순 실화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발화 지점 주변에서 인위적 흔적이나 발화 요인이 있었는지를 정밀하게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볼 때, 당국은 단순한 실화 외에도 고의 또는 간접적 인위 개입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조사 범위를 넓히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전국적으로 드물게 발생한 '야간 비등산로 산불' 유형이라는 점에서 원인 분석 결과에 따라 유사 사례에 대한 대응 체계 전반을 재검토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산림당국은 현재 피해 규모와 함께 발화 지점 주변의 인위적 흔적 여부 등을 조사 중이다.


기자 이미지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