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328026504285

영남일보TV

이철우 경북지사, 우원식 의장 만나 “산불 대응 매뉴얼 적절하지 않아”

2025-03-28 14:26
이철우 경북지사, 우원식 의장 만나 “산불 대응 매뉴얼 적절하지 않아”

이철우 경북지사가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경북 산불 피해 대처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 우원식 의장 만나 “산불 대응 매뉴얼 적절하지 않아”

우원식 국회의장이 경북산불 피해 대책 마련에 대해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28일 경북의 산불피해 대책본부를 찾아 이철우 경북도지사, 고기동 중대본부장, 임상섭 산림청장 등을 만나 산불 재난에 대한 대책과 관련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자리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산불 대응 체계 개선과 이재민 지원 대책을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이 지사는 기존 대응 매뉴얼이 현장에 적절하지 않았으며, 장비 부족으로 인해 진화 작업이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또한, 피해 지역의 신속한 복구와 장기적인 재건 방안을 강조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기존 매뉴얼이 현 상황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며, “대피 과정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특히, 현행 헬기의 물주머니 용량이 작아 강한 바람 속에서 효과적인 진화가 어렵다며, 대형 헬기와 야간 진화 장비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야간 진화 장비가 부족해 결국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국회의 예산 지원을 촉구했다.

현재 피해 지역에서는 2천500여 채의 가옥이 소실됐으며, 이재민들은 체육관 등 임시 거처에 머물고 있다. 이 지사는 “장기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며, “농업인들이 하루빨리 복귀할 수 있도록 임시 주택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며, 기존의 개별 보상금 지급 방식보다 국가가 직접 주택을 건설해 제공하는 방식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철우 지사는 단순한 복구를 넘어 피해 지역을 새로운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소실된 마을을 공공시설이 포함된 새로운 마을로 재건하고, 관광지로 개발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며, “국회가 관련 제도를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불타버린 지역이 새로운 명소로 바뀌어야 한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협력을 강조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50대의 산불 진화 헬기가 있으며, 이 중 29대가 러시아에서 도입된 기종이지만, 부품 수급 문제로 8~9대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미국, 스페인, 일본 등의 사례처럼 대형 헬기 도입이 시급하지만, 확보에 시간이 걸리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야간 진화의 경우 헬기를 주력으로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드론과 지상 인력을 대안으로 검토 중이다. 그러나 강풍이 부는 경우 드론 운용이 어렵고, 지상 인력 투입도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캐나다나 미국처럼 항공기를 활용한 산불 진화 방안을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아울러 산불 확산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임상 정보, 지형 경사 등의 요소를 통합한 연구개발(R&D)이 필수적이며, 연구 인력과 장비 투자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기존의 재난 대응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대형 헬기 도입과 야간 진화 장비 확보 등 새로운 대응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고 화답했다. 그는 “국회는 정부와 협력해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 복구와 관련해서는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이 최우선 과제이며, 임시 거처와 농작물 관리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정부에 추가경정예산안을 제출해 줄 것을 요청한 상태이며, 이번 산불 피해 복구 예산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산림청, 경북도 등 관계기관이 협력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빈틈없는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자 이미지

정운홍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