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성·영덕·청송·영양 등 경북 5개 북동부지역의 산불 피해 규모는 조사가 진행될수록 커지고 있다. 오는 6일까지 예정된 경북도의 1차 피해 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천문학적 수준의 피해임은 분명하다. 피해 범위가 워낙 광범위해, 복구를 하더라도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피해를 입은 고령자들은 자식이 있는 지역으로, 귀농귀촌의 꿈이 산산조각난 귀농인들은 다시 도시로 돌아가려한다. 신속하게 살만한 농어촌 모습으로 복구하지 않으면, 피해지역의 소멸속도는 매우 빨라질 것이다. 그러려면 특별재난지역 선포만으로는 부족하니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 복구 및 지원 특별법'을 제정해, 종전과 다른 방식으로 피해를 복구해야 한다는 경북도의 요구가 설득력이 있다.
동시에 민간투자도 피해복구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번 산불 피해지역은 외지인들이 투자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지역이 대부분이다. 그래도 살펴보면 민간기업이 투자를 추진 중인 피해지역이 있다. 피해 산림 중 한 곳은 해당 지역 지자체가 민간자본을 유치해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립을 추진했던 부지다. 해당 지자체 재정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추진했던 사업인 만큼, 이 사업의 속도를 내면 민간자본으로 피해 산림을 새로운 모습으로 바꿀 수 있다. 또 다른 피해지역에는 민간사업자가 대규모 스마트팜 조성을 해당 지자체에 제안한 상태에서 산불이 났다. 스마트팜 조성 예정지 역시 산불 피해 영향 구역 안에 있다. 스마트팜 조성 인허가에 속도를 내면, 해당 지역은 다른 모습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산불 피해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 산불 피해 지역에 민간투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게 전화위복의 시작이 될 수 있다.
동시에 민간투자도 피해복구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번 산불 피해지역은 외지인들이 투자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지역이 대부분이다. 그래도 살펴보면 민간기업이 투자를 추진 중인 피해지역이 있다. 피해 산림 중 한 곳은 해당 지역 지자체가 민간자본을 유치해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립을 추진했던 부지다. 해당 지자체 재정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추진했던 사업인 만큼, 이 사업의 속도를 내면 민간자본으로 피해 산림을 새로운 모습으로 바꿀 수 있다. 또 다른 피해지역에는 민간사업자가 대규모 스마트팜 조성을 해당 지자체에 제안한 상태에서 산불이 났다. 스마트팜 조성 예정지 역시 산불 피해 영향 구역 안에 있다. 스마트팜 조성 인허가에 속도를 내면, 해당 지역은 다른 모습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산불 피해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 산불 피해 지역에 민간투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게 전화위복의 시작이 될 수 있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