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 필요…기업 이익 나눌 수 있어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향후 집권 시 추진할 국가 비전 'K-이니셔티브'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재명 예비후보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에서 'K-이니셔티브'에 대해 “모방한 기술로 이룩한 우리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스템을 주도적인 기술로 전환해 나가자는 제안"이라고 밝혔다.
'K-이니셔티브' 구현을 위해서는 '진취적인 실용주의'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예비후보는 “먹사니즘의 토대 위에 한계를 뛰어넘어 신세계를 설계하는 '잘사니즘', 변화 적응을 넘어 그 변화를 주도하는 영향력이 곧 글로벌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향후 5년은 국운이 걸린 절체절명의 시기이자 역사적 분수령이다. 대한민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퍼스트 무버'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가치중심 사회로 변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예비후보는 “양적 성장에만 매달리던 기능중심 사회의 한계를 벗어나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가치중심 사회로 변해야 한다"며 “트럼프 2기 체제의 '자국우선주의 세계대전'이 시작됐다. 우리 안의 이념과 진영 대결은 우리가 맞닥뜨릴 거대한 생존문제 앞에 모두 사소한 일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실용주의를 통해 대한민국을 레벨업 시키겠다는 각오도 내놨다. 이 예비후보는 “현실에 발을 딛고 이상을 향해 팔을 뻗는 주도적이고 진취적인 실용주의가 미래를 결정한다. 이번 대선을 대한민국 '레벨업'의 전기로 만들겠다"며 “70년의 위대한 성취를 넘어 세계를 주도하는 시대를 개척하겠다"고 선언했다.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첨단과학 기술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는 전망도 제시했다. 이 예비후보는 특히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한다. 기업에 대한 국가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며 “경제외교 상황도 많이 변했고,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첨단과학 기술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제 국가의 경계가 사라지고 경제에 있어 경쟁 활동은 다 기업이 하게 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첨단산업의 경우 글로벌 기업으로 경쟁하려면 초거대 기술력과 자본력이 필요한데, 이는 개별기업이 감당하기 어렵다"며 “지금은 국가 단위의 관여나 지원, 투자,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그 기업들이 더 공익적이고 합리적으로 (경영을 해야 하며), 기업활동으로 인해 생겨나는 이익을 독식하는 게 아니라 많은 사람이 나눌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