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13026428764

영남일보TV

삼성 스마트폰·반도체, 美 상호관세 제외…숨통 트인 對美 수출

2025-04-13 12:00

트럼프 행정부, 전략 품목 일부 관세 유예 결정
中 생산 집중된 핵심 IT제품 타격 최소화 시도

삼성 스마트폰·반도체, 美 상호관세 제외…숨통 트인 對美 수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스마트폰과 메모리 반도체가 미국의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미국 정부는 12일(현지시간) 일부 전략 품목에 한해 관세를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관세 부담에 따른 글로벌 IT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기업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이날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항목을 발표했다. 대상에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하드디스크,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포함됐다.

업계에선 애플, 삼성전자, 델, TSMC, 엔비디아 등 주요 글로벌 IT 기업들이 이번 조치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별개로 중국에 125%의 상호관세를 적용 중이며, 마약 대응을 명분으로 기존에 부과된 20%의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앞서 지난 4일에는 철강과 자동차처럼 기존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제품들 외에도 반도체와 의약품 등 일부 품목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할 뜻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치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핵심 수출 품목의 대미 수출 여건을 다소 완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은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향후 별도의 관세 체계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백악관도 관련 입장을 내놨다.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미국은 더 이상 핵심 기술 생산을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에 대해 별도 관세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미국 정부는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긴급 조치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이 조항을 근거로 철강과 자동차에 각 25% 관세를 매긴 바 있다. 반도체 역시 유사한 방식의 관세 적용이 유력한 상황이다.


기자 이미지

이지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