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선 제안’ 요구…범정부 패키지 마련
무역균형+규제완화+방위비 ‘원스톱 협상’
조선 협력·알래스카 LNG ‘지렛대’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한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5대 우선협상국'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르면 다음 주 진행될 예정인 한·미 고위급 협상에서 가시적 성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란는 기대감도 나온다. 15면에 관련기사
스콘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14일(현지시각)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다음 주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예고하며 한국 등 상대국들이 가져오는 '최선의 제안(A game)'에 따라 협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베선트 장관이 90일 상호관세 유예 기간 한국, 영국, 호주, 인도, 일본 5개국을 최우선 협상 목표로 삼겠다고 주변에 밝혔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는 등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우방국과 먼저 무역 합의 성과를 도출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무역 균형 추구와 비(非)관세 장벽 해소 노력 등을 함께 담은 '패키지'를 미국에 제안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르면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해 대미(對美)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정부는 미국이 관세 전쟁에 나선 근본 배경인 '무역 균형'과 관련해 보다 구체화 한 로드맵을 제시할 것으로 관측된다. 로드맵에는 가스, 원유, 농산물 등의 구매를 늘리는 수입 확대와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기존 수출 제품의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수출 대체 방안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미국이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인 한국에 상호관세 부과 명분으로 삼는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집중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두는 조선 협력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터 참여 문제도 '원스톱 쇼핑' 식의 협상 테이블에서 한국의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나아가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통상 이슈에 주한미군 주둔 비용 등 안보 문제까지 포함한 '원스톱 쇼핑' 식의 협상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주한미군 분담금 조정 문제까지 포함한 대비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