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대 정원 철회에도 집회 강행…의료계 “정책 신뢰 이미 무너져”
김택우 회장 “이 싸움은 명분의 회복…국민 건강 위한 저항”
의대생 6천명 참여…교육·수련권 회복 요구, 의료현장 혼란 여전

숭례문 인근에서 열린 전국의사궐기대회
20일 서울 중구 숭례문 인근 세종대로에서 대한의사협회 주최로 열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 참가자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과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운영 등을 규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
20일 서울 중구 숭례문 인근 세종대로에서 대한의사협회가 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 참가자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과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운영 등을 규탄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 의료개혁 정책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기운이 다시 분출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20일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의료 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열고 정부의 의료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현장에는 의사와 의대생 등 2만명(주최 측 추산)이 집결했다. 단순한 정책 반대가 아닌, 무너진 신뢰 회복과 의료 시스템 전반의 재설계를 촉구하는 외침이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은 “정부는 의료를 파괴한 과오를 인정하고 책임 있는 사과와 수습책을 내놔야 한다"며 “소위 의료개혁은 이름만 개혁일 뿐, 내용은 붕괴였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정부가 또다시 책임을 다음 정권으로 넘기려는 무책임한 태도는 용납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날 의협 집회는 의료의 본질과 현장 붕괴상황을 알리려는 경고성 메시지로도 읽힌다. 정부는 지난 17일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3천58명으로 되돌렸지만, 의료계는 '명분 없는 철회'라며 정책 방향성과 신뢰성에 모두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의협은 결의문을 통해 “의료정책은 의료계를 배제한 일방적 방식으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필수의료 패키지를 포함한 윤석열 정부의 정책 전반을 즉각 중단하고, 재설계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집회에는 전국에서 모인 의대생 6천명이 동참했다. 의대 교육 현장이 사실상 멈춘 가운데, 젊은 의료인들이 '교육 현장으로 돌아갈 명분'을 만들어주기 위해 의료계가 거리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정부에 △의대생 및 전공의에 대한 행정명령 철회 및 공식 사과 △수련권 및 학습권 회복을 위한 실질적 조치 △교육 불가능 의대에 대한 입학 정원 재조정 등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