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21010001797

영남일보TV

[사설] 역대급 산불 이후의 산사태 대책, 종전과 달라야 한다

2025-04-21
정부와 경북도는 장마철 이전에 경북 의성·안동·영덕·청송·영양의 산불 피해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키로 했다. 산불이 난 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산불 이전보다 최소 10배에서 최대 200배까지 많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역대급 산불 피해로 가족과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에게 산사태 재난까지 겹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러려면 산사태 예방책은 종전과 다른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번 경북 산불은 기후변화와 잘못된 산림정책이 총체적으로 작용해, 여태껏 경험하지 못했던 피해를 냈다. 산불 피해 지역의 산사태도 이전에 보지 못했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2023년 여름 집중 호우때, 영주·문경·예천·봉화·영양에서 21명이 숨진 산사태를 상기해야 한다. 당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미증유의 재해"라면서 "단순한 산사태가 아닌 지속적이고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토사 재해"라고 규정했다. 2년 전과는 또 다른 형태의 산사태가 산불 피해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까지 염두에 두고 예방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미다.

동시에 산불 피해 지역 전체가 산사태 위험지역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산불 피해 면적이 워낙 넓어 우선 지역 순서대로 예방조치를 하다 보면, 후순위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일도 생길 것이다. 그래서 개발계획이 있는 산불 피해 지역은 우선 순위와 상관없이 피해지역 개선사업으로 보고, 지역을 개발하면서 산사태도 예방해야 한다. 이번 산불 피해 복구는 모든 면에서 종전과는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정부와 경북도, 그리고 피해지역 지자체는 명심해야 하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