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자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지역기업 우대 등 반사이익 기대

대구경북신공항 조감도. 영남일보 DB
경북도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항공산업 육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올 초 국방부 군공항 사업계획이 승인된 데 이어 5월1일 민·군 통합공항 건설을 위한 시행령이 시행되면 지역 기업들의 항공산업 진출이 보다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법 시행령' 개정안에는 공항부지 조성사업을 기존 공항이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장에 위탁하거나 공동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향후 공항건설의 설계·시공 단계에서 국토부와 효율적인 협업체계가 가능해진다. 특히 군공항 이주자에 대한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지역기업 우대 조항이 포함돼 공군부대 유치와 항공물류산업 육성에 힘을 싣는 경북도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경북도는 이달 초 항공산업 육성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공군 군수사령부와 △부품 국산화 △외주 정비 △정비 능력 개발 사업을 상호 협력키로 했다. 또 군이 필요한 품목을 지정하면 지자체가 연구개발(R&D)을 돕는 '품목 지정형'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경북도는 장기적으로 전기, 반도체, 방위산업의 항공산업 전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지난 17일 열린 군·민 항공부품 국산화 사업설명회에 국내외 30여개 기업이 참석해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히는 등 큰 관심을 보였다.
대구경북신공항 및 각종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토지보상 문제도 진척을 보이고 있다. 이전 대상지인 군위군 소보면과 의성군 비안면 일대에선 토지보상을 위한 지장물 조사가 진행 중이다. 대상 면적은 총 6천454필지, 1천619만7천810㎡에 달한다. 지난 2월 군위지역 조사가 실시된 데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의성지역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경북지역 항공산업 발전에 필요한 복수화물터미널 위치 등을 포함한 민간공항 기본계획도 조만간 발표를 앞둔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상반기 내 발표를 목표로 막바지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며 “민·군공항의 통합건설이 가능해진 만큼 앞으로 진행될 설계·시공 과정의 효율적 추진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