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재난관리시스템 접수된 지역 농작물 피해 2천3ha, 시설하우스 1천480동 전소
경북도, 농업 경영체 조속한 재개 위해 이재민에 공공형 일자리사업 제공… 1인당 120만원

경북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 마을에서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이 전소된 가게 앞에 주저앉아 있다. 영남일보 DB
경북도가 산불 피해 지역의 조속한 복구에 나선다. 피해 주민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 공공형 일자리를 제공하고, 잿더미로 변한 산림에는 스마트팜 등 시설하우스를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경북도는 최근 산불 피해 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같은 이재민 생계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달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을 휩쓴 산불로 9만㏊에 달하는 산림이 불에 탔다. 이재민은 3천7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따르면 현재까지 농작물 피해는 2천3㏊, 시설하우스 1천480동, 축사 473동이 소실됐다.
앞서 이철우 도지사는 산불로 송이 생산단지가 불에 탄 영덕을 찾아 “100m 이하 산지를 개발해 스마트팜과 소형 첨단공장, 청년 일자리 등을 만들겠다"며 바라보는 산이 아니라, 돈이 되는 산으로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는 이재민의 조속한 복귀를 위해 '공공형 긴급 일자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불 면적이 50% 이상이거나, 주택 전소자, 피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달에 약 120만 원 규모의 공공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들은 산림 및 피해 복구 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영농재개를 위한 시설원예 지원사업은 지원 요건은 완화하고 대상은 늘린다. 기존 국비 지원에서 제외됐던 3천㎡(약 900평) 미만의 시설하우스도 지원 대상에 포함한다. 신청자는 자부담금 20%를 납부하면 관련 신축과 현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도는 각 시군과의 협의를 통해 사업을 확정한 뒤 이재민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은 “산불피해 복구는 20~30년이 걸릴 수 있는 긴 과제"라며 “일자리 창출을 포함한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복구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