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중복관세 철회·부품관세 환급…미국 기업·시장 우려 수용
한국 車부품 중국산 대체지 부상 가능성
지역 車부품업계엔 즉시 영향 없어…관세 폐지엔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 및 차부품 관세 동력이 자국 자동차 업계의 반발에 약화될 것으로 보이면서, 대구경북 차부품업계가 한숨을 돌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29일(현지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완성차에 부과한 25% 관세 외에 철강·알루미늄 등 다른 품목에 대한 관세가 중복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할 계획이다. 또 다음달 3일부터 부과 예정이었던 외국산 자동차 대상 25% 관세도 조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제조 자동차 1대 가격의 3.75%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부품 관세 환급이 가능해지고, 2년차에는 2.75%로 축소된 뒤 점진적으로 폐지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관세 완화 방침에는 미국 자동차 업계 및 노동계의 반발을 의식한 것이라는 해석이 중론이다. 업계는 25% 관세가 글로벌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그로 인해 다수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부과한 25% 관세를 철회할 수도 있다는 장밋빛 전망도 제기되면서 국내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고율의 관세 부과로 부담을 느끼던 지역 부품업체들이 중국산 부품의 대체재가 될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한국의 차부품이 미·중 무역갈등 속에서 중국 제품의 대체재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어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할 관세 완화 방침이 지역 부품업계에 당장은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25% 관세는 그대로 유지하되 중복 관세 부문만 환급하겠다는 의미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세 철폐 가능성에는 희망섞인 전망도 나온다. 대구지역 한 차부품업체 관계자는 “25% 관세가 그대로 유지되고 중복관세 환급만 언급돼 당장에 긍정적인 신호라곤 보기 어렵다"면서도 “완성차와 차부품 등에 부과된 25% 관세가 모두 철회되는 것이 가장 좋은 시나리오"라고 했다.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