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곡·조야·서변동 3천514세대 6천500여명 한꺼번에 대피
수송 등 대혼란 상황, 안전 계획 세분화·현장 요원 확보해야
![]() |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이틀째인 29일 오후 대구 북구 망일봉에서 119소방대원들이 잔불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이윤호기자 yoonhohi@yeongnam.com |
![]() |
29일 오후 1시쯤 대피소에서 복귀한 조야동 주민 이종열(55)씨가 불에 탄 물건들을 살피고 있다. 구경모기자 |
대구시에 따르면 29일 기준 대피 주민 수는 노곡·조야동, 서변동 등 총 3천514세대 6천500명에 달했다. 산림청 추산 산불영향 구역 면적(260㏊)에 대입하면 1㏊당 25명이 영향을 받은 셈이다.
단순 숫자만 비교했을 때 지난달 경북을 집어삼킨 최악의 산불과 극명한 차이가 난다. 경북 산불은 4만5천157㏊를 태우면서 3만7천361명이 대피했다. 1㏊당 0.8명가량이다. 인구 밀집지에서 발생한 함지산 산불의 영향력이 무려 31배나 높았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대지 규모가 좁고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에서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이동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산불 영향권 일대 혼란도 가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민가 골목으로 진입하던 소방차 등이 대피하려는 주민 차량과 뒤엉키거나, 도심 곳곳 통제된 도로 상황과 퇴근길 정체가 겹치면서 교통 혼잡이 빚어졌다. 대피소의 경우 노곡·조야동엔 비교적 수월하게 대피소가 마련됐다. 하지만 서변동엔 한때 동변중 대피소에 인파가 집중되자 추가 대피소를 확보한 뒤 분산시키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대구시 측은 "도시라는 특성상 인구가 많고, 특히 상가 등 생계 활동 중인 사람이 다수 생활한다. 이번 산불로 대피 기준, 수송 대책과 같은 고민이 요구된다는 점을 인지했다. 더 안전하고, 원활한 재난 대응이 가능하도록 대비하겠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각종 재난 상황에 맞춘 대피계획을 세분화해 구축하고, 시민들이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조력자를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문수 경운대 재난안전연구센터 교수는 "지자체마다 위기관리 지침은 마련돼 있지만, 여러 상황을 가정한 구체적 플랜을 디자인하는 게 필요하다"며 "플랜이 현장에 잘 적용될 수 있도록 통제하고 안내할 요원을 확보해야 한다. 경북 산불 때 지역과 주민 사정을 세밀하게 아는 이장들이 큰 역할을 했듯, 도심에서도 이런 일을 맡을 인력을 운영하면 혼란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