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30028311967

영남일보TV

대구 북구 산불 발화지점 특정…잔불은 되살아나 야간진화 지속

2025-04-30

오전 10시 감식결과로 발화지점 특정
‘특수한 목적’ 가능성 무게…실화·방화 등 수사
최초신고자 “낮 12시부턴 한 명만 산에 들어가”
산불 현장엔 잔불 진화 장기화…주야간 정리 작업

대구 북구 산불 발화지점 특정…잔불은 되살아나 야간진화 지속

30일 오전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최초 발화 추정 지점에서 대구소방 화재조사관이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이윤호기자 yoonhohi@yeongnam.com

대구 북구 산불 발화지점 특정…잔불은 되살아나 야간진화 지속

28일 오후 2시쯤 김성기(77)씨가 119에 산불 신고를 한 후 찍은 현장 사진. 김성기씨 제공.

대구 북구 산불 발화지점 특정…잔불은 되살아나 야간진화 지속

28일 오후 2시쯤 김성기씨가 119에 산불을 신고한 기록. 박영민 기자.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의 발화지점이 제사 등 종교행위를 벌이는 '제단'에서 약 100m 떨어진 지점이라는 의미있는 현장감식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30일 오전 10시쯤 국립산림과학원, 소방, 경찰, 북구청은 함지산(노곡동 산 19) 일대에서 현장감식을 했다.

전날 1차 현장감식에선 산불이 번진 노곡동·조야동을 둘러보며 발화지점을 3곳(굿당, 제단 등)으로 추렸다. 이날 감식에선 한 단계 더 나아가 '제단 앞 100m' 부근을 최초 발화지로 추정했다.

산림당국은 현재 실화·방화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 중이다. 특히 발화지점이 등산로에서 벗어난 뒤 소로를 따라 300∼400m 들어가야 도착하는 곳이어서 등산 목적이 아닌 '특수한 목적'이 있었을 가능성에 당국은 무게를 두고 있다. 인근 밭들과 상당한 거리가 있어 '논밭두렁 소각'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이날 현장에선 당시 최초 신고자의 김성기(77·서구)씨의 목격담도 나왔다. 김씨는 취재진에게 “당시 영상통화로 119에 위치를 알려줬다. 이곳은 입산 통제구역이지만, 밭일하는 사람이 자주 드나는다. 산불 발생 당일 낮 12시부터 이곳에 있었는데 그때 오토바이를 탄 사람이 산속에 들어가는 것을 직접 봤다"고 했다.

다만, 지난달 29일 주불이 잡혔던 함지산 산불은 다음날 오후 재발화됐다.

불씨가 일부 되살아나자 소방청은 30일 오후 5시47분쯤 다시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재발화한 산불은 길이 2.2㎞ 정도 화선을 형성했다. 오후 8시30분 기준 1.1㎞로 화선 규모가 줄었다.

산불이 확산하자 북구청은 오후 5시13분쯤 서변동 주민 3천414명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 대피 장소는 동변중, 연경초, 팔달초, 북부초교 등 4개 학교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다시 급하게 대피소로 향한 주민은 63명이다.

산림 및 소방당국은 장비 37대, 인력 595명을 투입해 야간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야간에도 열화상 감지용 드론을 투입,화선을 관측하는 등 진화작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야간진화작업이 가능한 수리온 헬기는 투입하기 않기로 했다.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