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 생활데이터 기반 위기가구 발굴 체계.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전기, 가스, 수도 요금 연체정보 등 생활데이터를 분석해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시는 이를 통해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위기가구 3천532가구를 조기 발굴해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했다고 1일 밝혔다.
전기, 가스, 수도요금 연체정보 등을 분석해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고립 등으로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있다.
시는 연체 정보를 분석, 복지 위기 신호를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해당 징후가 포착된 가구에 대해 신속하게 조사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발굴된 위기가구에 대해 기초 수급 60건, 긴급복지 33건, 기타 공공서비스 36건, 민간서비스 130건, 정보 안내 2천270건 등 맞춤형 서비스를 연계해 지원했다.
류동현 대구시 ABB산업과장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활용해 사각지대 없는 따뜻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