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506021165115

영남일보TV

‘경북 산불’ 불 탄 집 짓는데 겨우 1억 지원… “차라리 고향 떠나겠다”

2025-05-06 21:39

턱없는 주택지원금에 이재민 막막
조립식도 5천~6천만원 드는데
가전·가구까지 사려면 태부족
울진산불 때보다 더 줄어 실효성 논란

‘경북 산불’ 불 탄 집 짓는데 겨우 1억 지원… “차라리 고향 떠나겠다”

북 안동시 일직면 국곡리 마을에 한 주민들이 산불에 전소된 이웃의 주택을 살펴보고 있다. 영남일보 DB

경북 산불 피해를 본 전소 주택에 가구당 1억원이 지원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재민의 주거 안정과 생계 복귀를 중심으로 총 1조 8천31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울진 산불보다 피해는 더 컸는데, 실제 지원은 줄었다. 삶의 터전을 떠날 수도 있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6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에 책정된 복구비는 국비 1조 1천810억원, 지방비 6천500억원으로 구성됐다. 지난달 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NDMS)에 접수된 피해 자료를 바탕으로 항목별 지원액이 확정됐다.

가장 관심을 모은 주택 지원금은 전소 가구 기준 1억원 규모로 책정됐다. 기존에는 114㎡(약 34평) 이상 주택이 전소될 경우 3천600만원이 지원됐으나, 이번에는 약 6천만원이 추가돼 9천600만원이 지급된다. 도는 여기에 적십자 또는 산불 성금을 더해 전소 가구당 1억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반파 주택 역시 추가 지원을 포함하면 약 5천만원 수준의 지원금이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피해 주택 지원액이 실제 규모나 재건축 비용을 반영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2022년 울진 산불 당시와 비교 시 주택 가구당 실제 지원액이 낮을 수 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경북도 등에 따르면 울진 산불 당시 기존 지원액에 구호 성금 등이 더해져 전소 가구당 평균 1억 2천만원이 지원됐다. 반면 이번 산불은 피해 주택 수만 3천819동으로, 울진 산불 당시(415채)보다 9.2배 많은 상황이다. 추후 성금이 더해지더라도 가구당 총 지원액이 울진때보다 낮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현장에선 주택 재건축에 대해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산불 피해 주민 정 모 씨는 “새로 집을 짓는 데만 최소 1억원에서 1억 5천만원이 든다"며 “여기에 가전과 가구 등을 포함하면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대부분의 피해 주민들은 집을 다시 지을 엄두조차 못 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영양군 화매리 한 주민도 “15평 내외 조립식 주택만 지어도 5~6천만원, 여기에 가전과 생활용품을 합하면 1천500만원 이상이 추가로 든다"고 했다. 일각에선 70~80대 이상 피해 노인들은 지원금이 부족해 집을 짓지 않고 지원금만 받아, 고향을 떠나 지식들과 합칠 것이란 말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는 “피해 규모와 여건을 고려해 실질적인 복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국비 외에도 성금과 민간자원 연계 방안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정운홍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