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이 꽁꽁 얼어붙었다. 장기화한 부동산 경기 침체에다 12·3 비상계엄사태까지 터지면서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건설업 생산은 20.7% 줄며 27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3분기(-24.2%) 이후 가장 컸다. 폐업도 급증했다. 올해 1분기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의 종합건설업체 폐업 공고 건수는 160건으로, 2011년(164건)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았다. 공사비 급등에다 대통령 탄핵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문을 닫는 건설사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시공 능력 평가 100위 이내의 건설사들도 줄줄이 기업회생 신청을 하고 있다.
건설업은 전후방 생산유발 효과가 크고 일자리 연계성도 높다. 건설사 한 곳이 폐업하면 하도급 업체가 연쇄 부도에 내몰린다. 이는 일자리 감소로 이어진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1년 가까이 연속 감소했다. 고용 악화는 소비 위축, 내수 침체로 직결돼 국가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준다. 오죽하면 건설 현장에서 외환 위기 때보다 더 힘들다는 하소연이 나올까.
건설업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마저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당분간 건설경기 침체는 지속될 전망이다.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지만, 조기 대선이란 큰 이슈에 파묻혀 버렸다. 위기의 건설업에 숨통을 틔워줄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중심의 '건설 추경' 주장까지 쏟아지는 이유다.
건설업은 전후방 생산유발 효과가 크고 일자리 연계성도 높다. 건설사 한 곳이 폐업하면 하도급 업체가 연쇄 부도에 내몰린다. 이는 일자리 감소로 이어진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1년 가까이 연속 감소했다. 고용 악화는 소비 위축, 내수 침체로 직결돼 국가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준다. 오죽하면 건설 현장에서 외환 위기 때보다 더 힘들다는 하소연이 나올까.
건설업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마저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당분간 건설경기 침체는 지속될 전망이다.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지만, 조기 대선이란 큰 이슈에 파묻혀 버렸다. 위기의 건설업에 숨통을 틔워줄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중심의 '건설 추경' 주장까지 쏟아지는 이유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