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이 종반전에 치달으면서 막판 선거전을 흔들 유일한 변수로 단일화가 떠오르고 있다. 범(汎) 중도보수 진영의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간 연대이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이 후보를 만나 단일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당내 경선에 참여했던 안철수 의원은 이 후보에게 단일화를 고민해 달라며 "나이는 적어도 잘 모시겠다"는 말까지 했다. 일각에서는 이 후보에게 대선 이후 국민의힘 당권을 주겠다는 딜(deal)을 제시했다는 전언도 들린다.
단일화는 두 후보 간 여론조사를 감안하면 김 후보로의 통일에 가깝다. 이 후보가 고개를 돌릴 구조다. 이 후보는 줄곧 "단일화를 고민하지도 않고 그럴 의향도 없다"고 밝힌 배경이다. 더구나 단일화로 보수우파가 이긴다는 여론조사도 보이지 않는다. 반면 단일화의 명분과 요청에는 그럴 듯한 배경이 있다. 이 후보는 이유야 어떠하든 국민의힘 전(前) 당 대표였다. 정치적으로 갈라진 분파(分派)임이 분명하다. 대통령 선거처럼 대세를 가르는 선택의 현장에서 분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계엄과 대통령 파면으로 국민의 절반에 가까운 보수우파의 상처받은 정치적 정서의 문제가 남아 있다. 정치 지도자들이라면 이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고, 단합의 길과 이른바 중도로의 세력 확장을 도모하는 것은 명분 있는 수순이기도 하다. 설령 '이재명 정권'이 탄생하더라도 보수우파가 정책적 신념을 공고히 하고, 강력한 견제세력으로 남는 발판이 된다. 사분오열된 누더기로 그건 어렵다. 정치공학적으로도 단일화의 극적 효과가 촉발된다면 반전의 드라마가 불가능하지도 않을 것이다. 단일화를 향한 신속한 결행은 보수우파로서는 그간의 실수와 착오를 딛고 마지막 최선을 다하는 유일한 행로이다.
단일화는 두 후보 간 여론조사를 감안하면 김 후보로의 통일에 가깝다. 이 후보가 고개를 돌릴 구조다. 이 후보는 줄곧 "단일화를 고민하지도 않고 그럴 의향도 없다"고 밝힌 배경이다. 더구나 단일화로 보수우파가 이긴다는 여론조사도 보이지 않는다. 반면 단일화의 명분과 요청에는 그럴 듯한 배경이 있다. 이 후보는 이유야 어떠하든 국민의힘 전(前) 당 대표였다. 정치적으로 갈라진 분파(分派)임이 분명하다. 대통령 선거처럼 대세를 가르는 선택의 현장에서 분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계엄과 대통령 파면으로 국민의 절반에 가까운 보수우파의 상처받은 정치적 정서의 문제가 남아 있다. 정치 지도자들이라면 이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고, 단합의 길과 이른바 중도로의 세력 확장을 도모하는 것은 명분 있는 수순이기도 하다. 설령 '이재명 정권'이 탄생하더라도 보수우파가 정책적 신념을 공고히 하고, 강력한 견제세력으로 남는 발판이 된다. 사분오열된 누더기로 그건 어렵다. 정치공학적으로도 단일화의 극적 효과가 촉발된다면 반전의 드라마가 불가능하지도 않을 것이다. 단일화를 향한 신속한 결행은 보수우파로서는 그간의 실수와 착오를 딛고 마지막 최선을 다하는 유일한 행로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