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분시설 기준과 혼동 말아야… 지질기준 충족 밝혀
“부지선정 정치적 개입·외주 의존 주장도 사실무근”

강원 태백시 철암동 지대에 조성되는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조감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
강원 태백에 건설 예정인 고준위방폐물 지하연구시설(URL)을 둘러싼 지질 부적합 논란에 대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에 나섰다. 공단은 해당 시설이 실제 처분시설과는 다른 '연구용' 시설임을 강조하며, "지질 요건과 선정 과정 모두 적정성을 갖췄다"고 해명했다.
원자력환경공단은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은 관련 고시에 따라 처분고(방사성폐기물이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구조물)가 강도가 큰 단일 기반암에 위치하면 되는 것"이라며, "지표부터 전체가 단일 화강암이어야 한다는 일부 언론의 주장은 기술기준에 대한 오해"라고 반박했다.
태백 부지의 경우, 처분고 예정 심도인 500m 구간에 화강편마암, 화강암 등 결정질암이 충분히 분포돼 있어 기준을 충족한다는 게 공단의 설명이다. 또한 핀란드 온칼로 연구시설도 단일 화강암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또한 태백 URL 지역의 석회암 분포 주장에 대해서는 "실제 조사 결과는 석회암이 아니라 석회규산염암으로 확인됐다"고 반박했다. 이는 변성암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석회암과 달리 침식이나 용식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암종이라고 설명했다. 공단은 일본의 미즈나미 지하연구시설 역시 다양한 암종이 섞여 있으며, 이 역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고 사례를 제시했다.
특히 부지 선정과 관련한 정치적 개입 의혹에 대해서는 "공모 당시 태백시만 단독으로 유치계획서를 제출했으며,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된 부지선정평가위원회가 현장조사와 기준에 따라 공정하게 심사했다"고 밝혔다. 정치적 배경은 사실무근이며, 명백한 허위라는 입장이다.
설계·시공 외주 의존 지적에 대해서도 공단은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으로, 설계·시공은 아직 착수조차 하지 않은 단계"라며 "관련 업무는 조사 이후인 2026년부터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추 데이터 축적 부족에 대한 지적 역시 "연구용 시설 건설·운영을 통해 확보할 예정인 만큼, 현 시점에서는 과도한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고준위방폐물 지하연구시설 사업 부지는 태백시 철암동 고원자연휴양림 내 화강암 지대로 시설은 지상 3만6천㎡ 부지에 연구동·홍보관 등이 들어서며, 처분 시스템 모듈은 지하 약 500m 깊이, 지하 6만㎡ 부지에 조성된다. 2026년 착공해 2032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사업에는 총 5천138억 원(기술개발 투자비 제외)의 국비가 투입되며, 2030년부터는 부분 운영에 돌입해 약 20년간 운영될 계획이다.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