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철강 산업에 4천800억 지원 요청 예정

포항철강산업단지 전경. 연합뉴스.
정부가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철강산업의 중추 도시인 경북 포항을 이르면 9월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포항시는 철강산업 지원을 위해 정부에 4천8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요청할 예정이다.
24일 관가와 포항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 주력산업 위기 대응' 관련 업무보고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시 관계자는 "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신청을 준비 중"이라며 "주력산업인 철강에 대한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며 4천800억원 정도의 정부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차전지의 경우 주력산업 요건에 맞지 않아 철강 산업에 대한 지원만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관련 접수는 내달 초까지 완료한다는 게 포항시의 설명이다. 산업부는 신청서를 검토한 뒤 현지 실사와 관계 부처·지자체 실무협의 등을 거쳐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통해 지정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포항의 주력 기간 산업인 철강과 이차전지산업은 현재 중국발 공급 과잉과 전기차 일시적 수요 둔화(캐즘) 현상으로 위기에 직면한 상태다. 특히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대기업의 생산 시설 가동 중단과 투자 축소는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정부는 포항시에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 등을 지원하게 된다. 더불어 법인세·소득세 감면(창업·신설기업), 국세 납부기한 연장(중소기업) 등 세제지원도 적용된다.
산업부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철강, 이차전지, 석유화학 등 3대 위기 업종에 대해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기로 하고, 철강 업종에 대해 범용 철강재 공급규모 조정, 수소환원제철 경쟁력 확충, 불공정 수입재 대상 무역구제 강화 및 철강 원료 무관세 등을 추진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이차전지의 경우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 확대와 국방·선박·로봇 등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R&D)과 세액공제 등을 신설하고, 석유화학에 대해서는 금융·세제지원, 경쟁법 특례를 담은 '석유화학산업 사업재편 촉진방안'을 올 하반기 안에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구경모(세종)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