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농기원 ‘약용작물 산업화 및 수출 경쟁력 강화 심포지엄

경북농업기술원에서 26일 열린 약용작물 산업화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열렸다. 경북도 제공
국내 최대 약용작물 주산지인 경북에서 약용 작물의 국제 인증 획득과 브랜드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26일 경북농업기술원에선 '약용작물 산업화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열었다. 아모레퍼시픽 고재영 박사와 김병성 봉화약용작물연구소 실장, 김택환 미래전환정책원구원장 등이 참석한 이날 심포지엄은 국내 약용작물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됐다.
이날 강단에 선 김택환 원장은 유럽 약용식물 산업화 사례를 제시하며 한국 약용 작물의 글로벌화를 강조했다. 김 원장은 "스위스와 독일에선 약용작물을 기반으로 한 대기업 육성이 적극 이뤄지고 있다"며"동의보감이 발달한 한국 역시 약용작물을 차근차근 키워나가야한다"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국내 약용작물의 국제 인증 획득과 브랜드화가 앞으로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경북은 약용작물 주산지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전국 약용작물 재배면적의 약 26%(5천353ha), 생산량의 약 30%(3만4천437t)을 차지한다.
대표적으로 문경시는 오미자 산업 특구 지정을 필두로 가공·유통·체험을 연계한 산업 기반 잇따라 조성해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 경북농업기술원은 경북 주요 약용작물인 오미자, 작약, 당귀의 표준화 연구를 목표로 대구한의대, 봉화군과 'K-메디 전통 의학 실크로드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추진 중에 있다.
조영숙 도 농업기술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에서 확인한 농산업 현장의 목소리와 연구 성과가 실질적인 정책과 기술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