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717021003801

영남일보TV

윤재호 경북상의회장 “취수원·신공항 대구경북 협력으로 풀어야”

2025-07-17 16:26

17일 아시아포럼21 초청토론회서 “대구·구미는 경제공동체” 강조
“대구경북 정치인들 노력해 통합신공항 조속히 건설해야”
“법인세 지역 차등제 도입 및 노란봉투법·중대재해처벌법 노사 상생 방안 모색 필요”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이 17일 열린 아시아포럼21 제138회 릴레이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아시아포럼21 제공.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이 17일 열린 아시아포럼21 제138회 릴레이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아시아포럼21 제공.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은 "대구와 구미는 경제공동체"라며 "취수원 이전 및 대구경북(TK)통합신공항 건설 문제에 상생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미상공회의소 회장도 함께 맡고 있는 윤 회장은 17일 대구 남구 아트파크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 초청토론회에서 "대구경북이 먹고 사는 일터는 구미고, 구미는 대구의 위성도시"라며 "대구와 구미는 기업 유치 및 대기업 신규 투자에 있어서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최근 재검토되고 있는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에 대해 소신을 밝혔다. 그는 "예전부터 대구와 구미 간 취수원 갈등이 있었다. 제 생각엔 구미는 대구에 물을 주고, 대구는 구미의 공단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줘야 한다"면서 "낙동강물은 구미만의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것"이라고 했다.


이어 "대구와 구미를 따로 떼어내 이야기하면 안 된다. 대구에 살면서 구미 공단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다"며 대구와 구미의 상생 협력·동반 성장을 강조했다. 구미 공단 활성화를 통해 대구에서 소비 촉진을 일으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구시장 공백에 따른 TK신공항 추진력 약화에 대해선 "신공항은 대구경북 경제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구미에서 생산되는 제품 대부분은 항공물류를 통해 해외로 수출된다. 가까운 공항을 이용해 유럽 등으로 수출입한다면 물류비용이 더 싸질 것"이라며 "얼마 전 정부에서 광주 공항 이전을 위해 적극 나서기로 했는데, TK신공항도 지역 정치인들이 나서 빨리 건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약화된 국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법인세 지역 차등제 도입 방안도 제시했다. 윤 회장은 "우리 상공회의소 차원에서 법인세 차등을 지역별로 적용하자는 건의를 많이 했다. 그나마 광역도시는 상황이 괜찮지만, 전라도와 경상도는 더 어렵다"면서 "일본의 경우 지역에 있는 기업에 대한 우대 정책으로 상속세 면제를 해준다. 돈으로 주면 상속세를 내지만, 주식으로 줬을 땐 면제다. 부모가 하던 기업을 자식에게 물려주려면 내야 하는 엄청난 세금 때문에 회사를 팔아야 하는 구조를 막기 위해서다"고 말했다.


이어 "주식으로 물려준다는 것은 기업의 연속성을 이어가는 것이다. 기업이 고용을 하고, 세금을 내고, 기술적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 기업에 혜택을 줘야 한다"면서 "지방에 있는 회사에 법인세를 깎아준다고 하면 감액된 법인세를 직원들에게 되돌려줄 수 있다. 복리후생을 높이게 되면 지역에 있는 기업에도 사람들이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최근 여당이 추진 중인 '노란봉투법'이나 '중대재해처벌법' 도입 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노동자들의 희생에 대해서는 "노동자 없는 기업이 있을 수 없고, 기업주 없이 노동자만 있을 수 없다. 상생해야 한다"면서도 "최저임금 상승 및 주 52시간 적용으로 기업들이 해외로 많이 떠났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살아남을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도저해 버틸 수 없다. 노동자에 대해서만 너무 강조하면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들에게 엄청난 피해가 온다. 양면을 보고 정치를 해줘야 한다"고 했다.


국가산단의 특화지역 지정으로 기업 입주 문턱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낙동강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이 함유된 폐수를 배출하는 업종은 구미국가산단에 들어오지 못한다. 이런 장벽으로 과거 아예 일본으로 떠난 기업도 있다"며 "이젠 기술 개발으로 이런 문제도 해결 가능한 만큼, 입주 요건을 완화해 기업들이 활동을 편하게 하는 한편, 갖춰야 할 것은 정확히 요구하는 등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이재명 정부의 실용주의가 기업이 발전하는 형태의 정책으로 나타나길 기대한다고도 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체코·베트남 등과 전화하는 등 기업들을 위한 행보를 보면 상당히 기대되는 부분이 있다"면서 "노란봉투법이나 중대재해처벌법, 주 4.5일제 도입 등은 새 정부가 경제계와 노동계가 상생하는 방법으로 소통해서 추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권혁준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