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반도체 핵심부품 유리기판 이용한 유리 기반 인터포저 및 테스트 소켓 기술 국산화 주도

김일수(왼쪽부터)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 부위원장,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 서태민 루미엔 총괄부사장, 김장호 구미시장, 박교상 구미시의회 의장이 투자양해각서 체결후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박용기 기자>
대구·경북 출신 청년 공학도들이 경북 구미시에 5천200억 원을 투자해 차세대 반도체 핵심부품인 유리기판을 이용한 유리 기반 인터포저 및 테스트 소켓 기술 국산화를 주도한다. 고용 창출 인원도 1천23명에 이른다.
28일 구미시에 따르면 이날 경북도·구미시와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루미엔<주>는 세계 정상급 수준의 관련 기술로 시제품 검증 등 상용화 준비를 이미 마쳤다. 올해 12월 시제품 테스트 및 양산라인 설계에 이어 2028년부터 대규모 투자 확장에 나선다. 특히 회사 평균 연령이 32세로 서태민 총괄부사장을 비롯한 주요 직원들은 대구경북 출신 청년 공학도다. 이들은 지난 6월 의기투합해 구미에 회사를 설립했다.
유리기판은 고성능 반도체의 고집적화·고속화·미세화·저전력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존 세라믹 반도체 패키징 소재의 처리 속도와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신생 응용소재 시장의 미개척 분야로 주요 글로벌 기업이 연구할 만큼 성장 잠재성이 큰 산업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서 총괄부사장은 "금오공대, DGIST 공학전문대학원 구미캠퍼스 등 구미가 가진 공학적 토대를 기반으로 많은 세계 반도체 기업이 구미에 자리 잡아 새로운 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루미엔의 이번 투자는 구미가 글로벌 첨단소재산업 중심지로 성장하는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이번 투자는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의 기술경쟁력 강화로 직결되며, 구미시가 미래선도형 신생 응용소재·부품산업 시장을 선점하는 큰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용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