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대형산불 초기진화 R&D 공모’ 선정
산불 탐지·진화 AI 드론 개발…국비 40억 확보

대구시가 산림청 주관 '대형산불 초기 긴급 대응을 위한 AI 군집 드론 연구개발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사진은 지난 4월 대구 북구 노곡동 일대 산불 현장에서 소방 헬기 2대가 이동하는 모습. <영남일보DB>
산불 탐지부터 초기 산불 진화까지 혼자서 해내는 똑똑한 인공지능(AI) 드론이 대구에 뜬다.
대구시는 3일 산림청 주관 '대형산불 초기 긴급 대응을 위한 AI 군집 드론 연구개발(R&D) 사업'에 최종 선정돼 이 달부터 본격적인 기술개발 및 실증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최근 대구를 비롯한 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를 계기로, 산불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긴급 추가경정안 예산으로 반영된 재난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주관기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다. 지역 기업인 <주>무지개연구소와 <주>그리폰다이나믹스를 비롯해 헬리오센, 볼트라인이 참여한다. 대구시는 실증 지역 선정 및 참여기관 연계 등 사업 수행을 위한 실증 전반을 지원한다.
무지개연구소는 무인 이동체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번 사업에서 산불 정밀 탐지 및 영상 전송을 위한 AI 감시 군집 드론 개발 등 기술개발 전반을 담당한다.
그리폰다이나믹스는 순수 국내기술로 산업용 드론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자사의 고강성 기체 프레임 개발 기술을 활용해 100㎏ 이상의 소화기구를 탑재할 수 있는 대형 군집 드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는 국비 40억원이 투입된다. 달성군 일원을 중심으로 내년 말까지 약 1년 6개월간 기술개발과 실증을 거쳐 상용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AI 군집 드론 기술이 도입되면 기존 CC(폐쇄회로)TV 위주의 산불 감시 체계 및 헬기 중심 산불 진화 방식과 달리 상시 산불 탐지와 초기진화가 가능해진다. 대형산불로의 확산 차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AI 군집 드론 기술 기반의 AI 기반 산불 대응 체계가 국가 표준으로 자리 잡아 드론 산업 활성화 및 지역 고용 창출 등 다양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구시 최운백 미래혁신성장실장은 "드론 산업은 물류, 군사,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미래 산업"이라며 "대구시가 미래 항공산업의 선두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국가 R&D 사업 확보를 통한 지역 전문기업 육성에 앞장서겠다"고 했다.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