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탄파 장동혁 대표, 친윤·반탄파로 분류되는 TK지역 의원들과 소통 잦을 듯
민주당과의 싸움에서 TK 의원들 주도적 역할 가능
![국민의힘 당기 흔드는 장동혁 신임 당 대표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장동혁 신임 당 대표가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뒤 당기를 흔들고 있다. 2025.8.26 [국회사진기자단]
phot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08/rcv.YNA.20250826.PYH2025082611090001300_P1.jpg)
국민의힘 당기 흔드는 장동혁 신임 당 대표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장동혁 신임 당 대표가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뒤 당기를 흔들고 있다. 2025.8.26 [국회사진기자단] phot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국민의힘 새 대표로 장동혁 의원이 선출되면서 대구경북(TK) 정치권의 당내 입지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이날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투표에서 장 신임 대표가 22만302표(50.27%)를 얻어 당선됐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21만7천935표·49.73%)보다 2천367표를 더 얻었다.
대구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장동혁 대표가 당선된 것은 TK에서 장동혁 후보를 밀었기 때문"이라며 "김문수 후보가 한동훈 전 대표를 품는다고 한 순간부터 대구경북 민심이 장 후보 쪽으로 돌아섰다. 한 전 대표는 TK지역 정서와 맞지 않는데, 대선 과정에서 꼿꼿했던 김 후보가 당 대표 한 번 해보겠다고 반대쪽과 손잡은 것에 실망감이 컸다"고 말했다.
실제 장 대표는 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18만5천401표(52.88%)를 얻어 16만5천189표(47.12%)를 얻은 김 전 장관을 2만212표 차로 눌렀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반대해 온 장 대표가 당선됨에 따라 윤석열 정부 당시 '친윤'(친윤석열)계로 분류됐고, 탄핵 당시에도 탄핵에 반대한 대구경북지역 의원들이 앞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대구경북지역 한 국회의원은 "장동혁 대표가 가장 급선무로 보는 것이 내부분열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과 싸우기 위해서는 당은 단합·통합이 우선인데, 여기서 당원이 가장 많은 대구경북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면 좋겠고, 앞으로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자칫 대구경북만의 고립으로 빠질 수 있다는 시각에 대해서는 "대구경북 의원들이 윤 전 대통령의 당선에 많은 지지를 했고, 자연스럽게 친윤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좌파에서는 이걸 가지고 꼴통으로 매도해왔다"면서 "이 때문에 그동안에는 대구경북 의원들이 변화가 아닌 과거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불러일으킬까봐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었다. 앞으로도 약간의 숨고르기는 필요하겠지만, 주력 자원과 인재들이 TK에 있기 때문에 민주당과 싸우는 데 있어선 주도적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TK지역 의원은 "장동혁 대표가 선출된 것은 당원들이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정부의 여러 가지 폭거에 맞서서 국민의힘이 잘 단합해서 적극적으로 싸우라는 열망이 내포된 것으로 보인다. 또, 이제는 당이 미래를 보고 나아가야 한다는 뜻에서 더 젊고 역동적인 장 대표에게 표를 준 것"이라며 "대표 선거 과정에선 선명성을 강조하기 위해 극우적인 발언을 한 것일 수도 있는데, 이제는 강성 지지자뿐만 아니라 중도에 있는 우리 당 지지자와 당원들의 의견도 충분히 감안해서 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은 TK지역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하지만 TK 의원들이 원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고, 훌륭한 중진 의원들도 많기에 장 대표와 여러 가지 조언과 소통을 할 것"이라며 "그동안 TK가 국민의힘의 구심적 역할을 잘했듯이 앞으로도 변함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혁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