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827028021730

영남일보TV

영남타워-정체된 대구 ‘4대 부흥’ 프로젝트

2025-08-28 07:13
최수경 사회에디터

최수경 사회에디터

결론은 못 내고 속절없이 시간만 자꾸 흘러간다. 대구시가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된 지 넉 달하고도 보름이 지난 시점에 드는 생각이다. 시정(市政)이 너무 조용하다. 감동도 생동감도 없다. 무언가 손에 탁 잡히는 진전이 없어서다.


12년 전 제정된 군공항 이전 특별법(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함께 가시화된 대구공항 이전 관련 사업비 논의는 사실상 멈춰 있다. 대구시는 재정사업을 통해 국가가 책임지고 옮겨 달라고 외쳐왔지만 이렇다 할 울림은 없다. 이재명 정부가 곳간 문을 열어주겠다는 확답을 하지 않아서다. 공항 이전지가 확정된 지 5년이 지났는데 말이다.


1991년 폐놀 사태로 불거진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도 그렇다. 34년 묵은 이 숙원 사업은 여전히 답보 상태다. 본래 구미(해평취수장)를 찜했다가 안동(안동댐)으로 행선지를 바꿨지만 다시 구미로 회귀하는 양상이다. 1조원이 훌쩍 넘는 관로 연결 비용이 발목을 잡은 것. 13년간 줄다리기만 하다 2022년 4월 겨우 국무조정실, 구미시 등과 협약까지 맺었지만 3년만에 제자리다. 두 사안 모두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 장시간 인내해온 지역민들은 이제 화낼 힘도 없다. 자칫 무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빌 언덕'인 정부와 여당은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어 더 부아가 치민다. 내란세력 척결, 검찰 개혁, 노란봉투법 시행 등에 몸이 잔뜩 달아 있다. 특히 내란세력 단죄 기조는 여세를 몰아 내년 6·3지방선거까지 끌고 갈 태세다. 내친김에 지방권력도 손아귀에 확 움켜쥐고 싶은 모양이다. 지역 목소리는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다. 선거 때마다 보수진영에 표를 몰아준 TK 지역에 대한 선심을 바라기도 힘들다. 믿었던 새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엔 박한 평가가 나온다. 두 달간 완장 놀이만 하다, 지역 대선 공약의 국정과제 포함여부를 못박지 않은 채 슬며시 간판을 내렸다. 이 때문에 신공항·취수원·AI로봇 및 의료 클러스터 등 이른바 '대구 4대 프로젝트'는 추진동력을 탑재하지 못하고 있다. 여건상 대구엔 만기침람(萬機親覽)형의 강력한 리더십은 기대하기 힘들다. 큰 맘먹고 제법 규모 있는 신규사업이라도 해보려하면 보이지 않는 견제가 들어올까봐 겁을 낸다. 그저 큰 사고없이 기존 정책을 유지하다 새 목민관에게 바통을 넘기고 싶을 것이다. 대구시 신청사 준공· 대구 염색공단 이전, 신공항 개항, 제2국가산단 준공·대구 군부대 이전 등 대형 사업들의 종료 시점은 하나같이 2030년에 몰려 있다. 지금 분위기라면 '시민의 짐'이 될 공산이 커 보인다.


2019년 12월에 있었던 행정이슈가 떠오른다. 대구시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가 시민참여단 평가를 토대로 신청사 건립지를 옛 두류정수장 부지로 정한 날이다. 옛 경북도청 후적지가 유력했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그야말로 '반전 드라마'였다. 시민 250명이 2박3일간 합숙하며 숙의(熟議)한 결과물이어서 더 의미가 깊다. 당시 모처럼 가슴 졸이는 기분을 간만에 만끽했던 기억이 난다.


대구시정에서 다시 이런 감흥을 접해보고 싶다. 아무리 권한대행 체제라도 신박한 사업 아이템이 있으면 눈치 보지 말고 추진하고, 폐지할 건 과감히 없애야 한다. 가뜩이나 저임금·청년 이탈로 도시가 정체돼 있는데, 시 행정까지 복지부동해서야 되겠나. 부산사람처럼 일단 목표가 세워지면 포기하지 않고 물고 늘어지는 악바리 근성이 필요하다.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