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828024532431

영남일보TV

가구수 웃도는 재고 주택, 대구 미분양 불렀다

2025-08-28 21:34

2021~2023년 집값상승기 과잉 공급
주택이 가구수보다 3만5000호 많아져
경북은 15만3천호 재고 ‘전국 최다’

전국 시도별 주택수에서 가구수를 뺀 편차 비교 (단위 천호) <출처 부동산R114>

전국 시도별 주택수에서 가구수를 뺀 편차 비교 (단위 천호) <출처 부동산R114>

대구 전체의 가구 수를 웃도는 지역 재고 주택이 3만5천호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가구 수 증가보다 주택 증가분이 더 크다는 의미로, 최근 집값 상승기인 2021~2023년 아파트 분양과 입주가 대거 이뤄진 영향으로 보인다.


이 같은 분석은 부동산R114(www.r114.com)가 통계청이 발표하는 주택보급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가장 최근 자료인 2023년 기준 대구 전체 가구 수는 103만3천가구, 주택 총량은 106만8천호로 확인됐다. 주택 수가 가구 규모를 3만5천호 웃돌며 재고 주택으로 남아있다. 같은 기간 경북에서는 가구 수 116만7천가구, 주택 132만호로 15만3천호가 재고주택으로 남아 빈집 관리 필요성이 제기된다. 경북의 재고 주택 규모는 전국에서 가장 크다.


연도별로 대구지역 가구 수를 살펴보면 2021년 처음으로 100만가구를 넘어서며 100만1천가구, 2022년 101만1천가구, 2023년 103만3천가구를 나타냈다.


대구경북 가구 및 주택수 변화 (단위: 천 가구/ 천 호) <출처: 통계청 주택보급률 및 부동산R114>

대구경북 가구 및 주택수 변화 (단위: 천 가구/ 천 호) <출처: 통계청 주택보급률 및 부동산R114>

반면, 이 기간 주택 수는 2021년 100만8천호로 전년대비 2천호 증가했으나 2022년에는 1만7천호 늘어난 102만5천호, 2023년은 4만2천호 급증한 106만8천호로 집계됐다.


2021~2023년은 대구의 집값 상승이 가파르던 시기로, 이 기간을 전후해 아파트 공급과 입주물량이 집중되면서 주택 수가 가구 수 증가 규모를 크게 웃돌았다. 실제로 대구 분양 물량은 2019년 2만8천193호, 2020년 3만933호, 2021년 2만4천31호에 달했다. 시장에 공급된 분양 물량이 입주로 이어지던 2022년 입주물량은 1만9천909호, 2023년은 3만3천503호까지 치솟는 등 주택 총량이 크게 증가했다. 과공급 영향으로 2023년 미분양도 큰 폭 늘어 2023년 2월에는 1만3천987호까지 치솟았다. 올해 6월 말 기준 미분양은 8천995호다.


대구경북의 재고 주택이 확대된데 비해 서울 등 수도권은 주택 수가 가구 수를 따라 가지 못해 공급 부족이 나타나 지방과 대조를 보였다.


주택 수에서 가구 수를 뺀 차이가 서울은 -26만3천가구, 경기 -3만6천가구, 대전 -2만4천가구, 인천 -1만1천가구로 주택 수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서울과 수도권 등은 가구 수 증가 속도가 주택 공급 보다 더 빠른 지역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부동산R114 측은 "인구 감소 국면에도 서울 및 수도권의 경우 3~4인 이상 가구가 1~2인 가구로 분화하는 속도가 빠른 반면, 주택 공급 규모는 적어 주택 부족이 나타나고 있지만 지방은 가구 증가분을 웃도는 초과 공급이 이뤄지면서 재고 주택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자 이미지

윤정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