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 대구를 운행하던 광역노선(606)번이 중단된 가운데 고령군이 전세버스를 이용해 해당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고령군 제공>
경북 고령군이 고령~대구 광역노선(606번) 운행 중단으로 군민 불편이 가중되는 가운데, 행정력을 총동원해 정규운행 재개에 나섰다. 그러나 업계는 "근본 대책 없는 땜질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606번 노선은 지난 5월 23일 <주>대가야여객이 기사 구인난과 차량 노후화, 경영난 등을 이유로 운행을 중단했다. 이에 고령군은 전세버스 업체와 협약을 맺고 임시버스를 투입, 운행 공백을 최소화하고 있다.
군은 운행 중단 직후부터 사업 안정화와 이용 불편 해소에 주력했다. 6월에는 대형버스를 투입하고 운행 횟수를 늘렸다. 7월부터는 광역환승 및 어르신 무료승차 등 요금 할인정책을 도입, 농어촌버스와 요금체계를 단일화했다.
고령군 관계자는 "광역노선은 대구버스조합 등 여러 기관이 얽힌 구조라 정규운행 재개에는 면허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며 "현재 경북도, 대구시, 버스조합과의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반면 업계에서는 고령군의 조치가 '현장과 괴리된 행정'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주>대가야여객 관계자는 "606번은 2007년 개통 이후 줄곧 적자였다"며 "18년간 손실을 감수하며 운행을 이어왔지만, 광역환승제 도입 이후 수입이 급감하고 차량 교체 부담이 커져 결국 버틸 수 없는 구조가 됐다"고 토로했다. 이어 "대책 없이 고령군이 5월 23일자로 무조건 세우라고 해서 사태가 커졌다"며 "재원 마련 없이 광역환승제를 추진한 것이 문제의 본질"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하루 34회로 운행을 줄여도 실제 수요는 미미하고, 배차 간격이 30분 이상이라 승객 입장에선 버스를 한 번 놓치면 한 시간씩 기다려야 하는 구조에서 적자가 누적되는 건 당연하다"며 "근본적 재정 대책 없이 임시방편만 반복한다면 정규운행 재개도 실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고령군은 군민 불편 해소를 위한 정규운행 재개에 방점을 찍고 있지만, 업계는 광역환승제 이후의 수익구조와 지방재정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석현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