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16일부터 총파업 투쟁 결의…대구 상인동 건설현장 철콘 하도급 공사중지
대구 3곳 아파트 현장 파업 공사 차질…전문건설업계 “지자체 정치권 중재해야”
대구지역 건설경기 침체로 공사현장이 대폭 줄어든 가운데, 건설노조 총파업까지 더해지면서 지역 건설하도급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가뜩이나 수주 감소로 일감은 줄은데다, 공사원가는 올라 수익성이 나빠진 상태에서 근로자 파업까지 맞물려 작업 중단 등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장에선 파업이 장기화되면 "버티기 어렵다"는 말까지 나온다.
22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경북철근콘크리트사용자대표협의회(이하 대경철대협)과 민주노총 건설노조는 지난 5월 상견례를 시작으로 8월말까지 7차 임단협 교섭을 벌였으나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이후 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에도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자, 건설노조는 지난 16일 대구 달서구 상인동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를 갖고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당장 대구 달서구 상인동 아파트 현장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등 골조 공사를 진행하는 대구 하도급 업체가 통상 투입돼야 할 건설근로자 절반 이상이 파업으로 빠지면서 공정별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 공사를 위해 필요한 거푸집 공사는 지난 21일부터 작업이 사실상 중단됐다.
이번 파업으로 대구에서는 상인동 현장을 포함해 중구와 북구 아파트 공사현장 3곳이 철근콘크리트 공정을 중심으로 파업 여파를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 전문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가 수 년째 얼어붙어 대구의 공사 현장이 줄어 일감 자체가 없어 하도급의 어려움이 굉장히 크다"며 "파업이 장기화되면 업체들은 공사기간을 맞추기 위한 여러 리스크를 떠안게 돼 회복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사용자협의회와 건설노조 간 입장 차를 줄이는 중재자가 필요한데, 지자체나 정치권이 나서줘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실제, 지난해 말 우원식 국회의장은 철근콘크리트 사용자연합회와 건설노조 간 중재를 위한 면담을 진행하기도 했다.
현재 대경철대협에는 대구경북 12개 전문건설업체가 참여해 단체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통상 20개 안팎 업체들이 협의회에 참여했으나, 올해는 지역 내 공사현장이 많지 않고 폐업 업체는 늘어 규모가 줄었다. 실제로 폐업 수는 올들어 22일 현재까지 대구 전문건설업체만 69곳에 이른다. 작년(72곳) 보다는 다소 줄었으나 2022년 39곳, 2023년 62곳 등 예년과 비교하면 많은 수준으로 지역 건설경기를 드러내는 지표가 되고 있다.
한편 건설노조는 중대재해와 불법 하도급·외국인 등 불법고용·체불을 건설현장 4대악으로 규정하고 근절을 촉구하면서 단체협약 투쟁 승리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윤정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