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102025444751

영남일보TV

  •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
  • [영상]경주를 물든인 K컬처 특별전… 신라의 향기, 현대 예술로 피어나다

맞춤형 독해 자료 ‘독해싹’…대구 초등생 문해력 높인다

2025-11-02 21:59

초교 2~4학년 대상, 자기 주도적 독해 프로그램 구성
어휘싹·개념싹·독해싹으로 연결되는 ‘싹 시리즈’ 운영

이달 대구시교육청이 자체 개발해 지역 초등학교에 보급한 맞춤형 독해 자료 독해싹(SSac) <대구시교육청 제공>

이달 대구시교육청이 자체 개발해 지역 초등학교에 보급한 맞춤형 독해 자료 '독해싹(SSac)' <대구시교육청 제공>

대구지역 초등학생의 교과 문해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독해 자료 '독해싹(SSac)'이 최근 각 학교에 보급됐다. 대상은 초등학교 2~4학년이다. 앞서 대구시교육청은 2022년 전국 최초로 '어휘싹'과 '개념싹'을 개발해 학교 현장에 보급한 바 있다. 이번 독해싹과 함께 연속성 있는 '싹 시리즈' 운영으로 학생의 문해력 성장을 돕겠다는 계획이다.


◆독해싹


2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시교육청이 자체 개발한 독해싹은 'S'elf-'S'tudy로 학습 고민을 'a'll-'c'lear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생의 읽기 능력이 수업 속에서 향상되도록 맞춤형 문해력 지원을 위해 개발됐다. 내용은 읽기 전·중·후 활동을 아우르는 자기 주도적 독해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국어를 비롯해 사회, 과학, 도덕 등 교과서 속 글을 바탕으로 학생의 읽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특히 '만나기-읽기-활동하기-적용하기'의 4단계 학습 구조를 도입해 학생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본문을 정독한 뒤 내용을 요약·추론한다. 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해 보는 체계적인 읽기 학습 과정으로 이뤄진 점이 특징이다.


학생의 발달 단계별 특성을 고려해 △생활 습관과 학교생활(2학년) △상상력과 공감(3학년) △환경·사회적 쟁점(4학년) 등 학년별 30개의 맞춤형 주제로 나뉜다. 이 자료는 각 초교에 학년별 책자로 배부된다. 대구교육포털 에듀나비에 PDF 파일로도 배포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시교육청은 내년 5~6학년에도 적용해 전 학년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월배초 김수진 교사는 "아이들이 독해싹 활동을 통해 스스로 읽고 생각해,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읽기 자신감이 커졌다"며 "독해싹을 통해 학생이 실제 수업 속에서 교과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학습의 즐거움과 몰입감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싹 시리즈 완성


시교육청은 어휘싹과 개념싹에 이어 독해싹으로 연결되는 '싹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 문해력 지도 자료를 지속적으로 보완·확대해 나가는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 중 하나다.


먼저 어휘싹은 학년별(1~6학년) 필수 어휘를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만든 워크북이다. 낱말이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을 통해 낱말의 뜻을 파악하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어휘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단순한 정답 찾기 문항이 아닌 학생의 다양한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체계로 구성됐다.


개념싹은 학년별 교과(3~6학년 사회·수학·과학)에 적용된다. 핵심 개념어를 학습할 수 있다. 핵심 개념어는 해당 학년 교육과정에서 알아야 할 필수 개념과 내용 이해를 위해 필요한 어휘를 말한다. 학생이 핵심 개념어의 뜻을 미리 익혀 교과 문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어휘나 개념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단 수준의 독해력 향상을 위한 자료가 독해싹이다.


문해력이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넘어 문맥과 맥락을 이해하고 정보를 분석·활용하는 복합적인 역량을 의미한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미래학생이 가져야 할 역량 중 하나가 문해력이라고 보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운영되는 자료가 '싹 시리즈'라는 게 시교육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모든 학습의 기초인 문해력 향상을 위해 맞춤형 자료를 선도적으로 개발·보급하고, 관련 학생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어휘싹·개념싹·독해싹 싹 시리즈

어휘싹·개념싹·독해싹 '싹 시리즈'


기자 이미지

김종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