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의 큰 성과로 엔비디아와의 인공지능(AI) 동맹을 꼽을 수 있다. APEC 참석을 위해 방한한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지난달 31일 한국과의 협력 강화 방안을 내놓았다. 핵심은 미국의 빅테크 기업의 싹쓸이로 웃돈을 주고도 구입 못하는 최신형 GPU 블랙웰 26만 개를 우선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 5만 개, 네이버 클라우드 6만 개, 삼성과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5만 개의 GPU를 도입한다. 금액으로 무려 14조 원에 달한다. AI 시대를 이끄는 엔비디아의 'AI 인프라 생태계(CUDA)'에 참여, 한국의 주권형(소버린) AI 구축을 앞당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은 단순히 AI의 핵심인 GPU를 받는 것을 넘어 '플랫폼 동맹'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엔비디아의 여러 플랫폼을 활용해 'AI 팩토리' 구축에 나설 수 있게 된 것이다. AI 팩토리는 일반적인 데이터센터와 달리 지능(Intelligence)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산업 전반에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AI 팩토리가 새로운 산업혁명의 원동력으로 여겨지면서 미국 빅테크에 이어 삼성, 현대차 등 세계 유수의 제조업체들도 앞다퉈 'AI 전환(AX)'에 뛰어드는 상황이다.
AI동맹은 우리나라가 미국, 중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절호의 기회다. 또 우리 기업들은 AI 팩토리를 통해 스마트 제조, 로봇, 자율주행 시대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만만치 않다. AI 기술개발을 가로막는 정부의 각종 규제철폐가 관건이다. 여기다 AI산업의 핵심 인프라는 전력이다. 정부가 이참에 '탈원전' 기조를 접고, SMR(소형모듈식 원전) 등 차세대 에너지 개발에도 적극 나서는 게 바람직하다.
AI를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하려는 대구와 경북도 이번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 경북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AI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포항을 중심으로 AI 생태계 구축에 모든 역량을 동원해야 한다. 대구도 AX 거점도시를 뒷받침하고, AI 로봇 수도를 지향하기 위해 'AI 종합연구센터' 설립을 서둘러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대구에서 가진 타운홀 미팅에서 AI 로봇 수도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젠 정부가 '규제프리존'이라는 과감한 혁신을 통해 대구·경북의 AI산업을 적극 지원할 때다. AI 산업은 전력 확보가 쉬운 지역이 비교 우위에 있는 만큼,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도 AI산업 유치에 팔을 걷어 붙어야 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