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104022576297

영남일보TV

  •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
  • [영상]경주를 물든인 K컬처 특별전… 신라의 향기, 현대 예술로 피어나다

철강 빠진 한미 협상 후폭풍…노동계·기업 “산업 붕괴 막아야”

2025-11-04 17:44

포스코 노조·산업계 공동 호소
세계는 지원, 한국만 규제 강화
산업 심장 지키자…K-스틸법 촉구
정치 넘어 현실적 지원 나서야

포스코그룹노조연대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등 노동단체가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사노동조합연대 제공

포스코그룹노조연대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등 노동단체가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사노동조합연대 제공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타결에서 철강이 제외(영남일보 10월 31일자 1면 보도 등)된 여파가 산업 현장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 포항을 비롯한 철강 도시의 시름이 깊어지는 가운데 노동자와 기업이 이례적으로 한목소리를 내며 철강 산업의 생존을 호소하고 나섰다.


포스코그룹노동조합연대(의장 김성호 포스코노조 위원장)는 4일 오전 국회와 대통령실 앞에서 한국노총, 금속노련 등 노동단체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철강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며 'K-스틸법'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이들은 "조선업이 대미 협상에서 강점을 보인 것도 그 뒤에 고품질 철강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철강산업이 흔들리면 제조업 전체의 경쟁력도 무너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와 기업이 함께 산업 보호를 외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노동계는 "현장 노동자들이 위기를 체감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다"며 "철강산업이 무너지면 조선·자동차·기계 등 연관 산업이 연쇄 타격을 입게 된다"고 우려했다.


포스코그룹노조연대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등 노동단체가 4일 대통령실 앞 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사노동조합연대 제공

포스코그룹노조연대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등 노동단체가 4일 대통령실 앞 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사노동조합연대 제공


포스코그룹사연대는 세계 주요국이 철강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해 기술 전환과 무역 보호를 강화하는 반면, 한국은 여전히 규제 중심 정책에 머물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정부의 제4차 배출권 거래제 할당 계획이 산업 현실을 외면한 채 기업 부담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호 의장은 "지금 필요한 것은 규제 강화가 아니라 현실적 지원"이라며 노동자 참여형 노사정 협의체 구성과 전력비 부담 완화,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재정 지원 확대를 제안했다.


한국노총 김동명 위원장도 "자동차 관세는 완화됐지만 철강은 고립됐다"며 "철강산업은 한국 경제의 주춧돌로, 노동자의 피와 땀 위에 세워진 국가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금속노련 장재성 상임부위원장 역시 "산업이 숨쉬고 노동이 버틸 수 있도록 현실적 길을 함께 만들어가자"며 17만 조합원의 연대를 약속했다.


한미 협상의 그늘 속에서 포항의 '산업 심장'이 다시 뛰기 위해서는 정치적 계산을 넘어선 실질적 결단이 절실해 보인다.


철강 빠진 한미 협상 후폭풍…노동계·기업 "산업 붕괴 막아야"


기자 이미지

김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