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원들 “TK신공항처럼 ‘기부대 양여’ 한계 직면할라”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이 대구 제2작전사령부 앞을 지나가고 있다. 영남일보DB
대구 군부대 후적지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구 도심 군부대 이전 사업의 추진 방식인 '기부대 양여' 방식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자칫 TK신공항처럼 재원문제 등으로 사업추진이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행감에서 황순자 대구시의원은 "기부대 양여라는 사업 방식이 너무 애매하고, 사업 추진에 있어 여러 애로사항이 있을 것 같다"며 "역시 기부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되는 TK신공항도 진척이 안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대구시 측은 "군부대 이전 사업에 있어 토목 공사비를 최소로 투입해 기부가 산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 주요 시설이 평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건의하면서, 기부가액이 많이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에 황 시의원은 "기부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하는데 있어 철저를 기하지 않으면, 이 사업도 TK신공항과 다를 바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을 당부했다.
김지만 대구시의원도 "군부대 이전 사업도 기부대 양여 방식으로 한다. 신공항 문제도 그렇고, 대구시가 민선 8기 출범하면서 기부대 양여로 시작한 사업이 하나도 제대로 된 것이 없다"며 "사업 추진에 있어 안정적인 재원 마련에 신경을 써달라"고 주문했다.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은 도심 곳곳에 흩어져 있는 군부대를 외곽으로 통합 이전하고, 종전 부지를 개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전 대상은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 △방공포병학교 등 5개 부대다.
대구시는 2028년 착공· 2031년 군부대 이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 3월 국군부대 이전으로 발생하는 후적지를 대구 미래 성장동력으로 조성하는 개발구상을 수립했다.
지난 9월엔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이 국방부 차관을 만난 자리에서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 추진 과정에서 합리적인 기능 대체성 판단을 통해 기부가액이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규모로 산정될 수 있도록 국방부의 지원과 관심을 요청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