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060630.010080655430001

영남일보TV

[최영호기자의 법조이야기 .18] 대구를 거쳐간 검사들

2006-06-30

100년의 역사 숱한 인물 배출
법무장관 7명·검찰총장 13명
한때 부산지역도 대구서 관할
최근엔 '6시그마 운동' 앞장서

[최영호기자의 법조이야기 .18] 대구를 거쳐간 검사들

흔히들 대구고·지검을 거친 검사들은 자존심이 강하다고 말한다.

대구검찰은 서울 다음으로 유서가 깊을 뿐만 아니라 대구를 거쳐간 검사 가운데 많은 사람이 영전을 했기 때문이다. 지금도 서울중앙지검에 이어 두번째로 규모가 크다. 부산도 대구지검에서 관할했을 만큼 대구검찰은 한때 '검사 사관학교'로도 불렸을 정도다.

대구지검의 모태는 을사조약이 체결된 1907년 12월23일 재판소구성법이 생기면서 설치된 대구지방재판소 검사국이다. 1912년 4월1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광복과 함께 미군정이 실시된 이후 같은 해 11월19일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오완수 검사장이 대구지방법원 검사국 검사장으로 임명됐다.

1947년 1월1일 처음으로 '대구지방검찰청'이란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 박승준 검사장이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임명되면서 비로소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관할구역은 대구시와 경북도 2개시 4개군(영천시·경산시·칠곡군·성주군·고령군·청도군)이고, 관할구역내 인구는 313만명(전국의 6.41%)이다. 구역내 경찰관서는 2개 지방경찰청(대구지방경찰청·경북지방경찰청)과 14개 경찰서(동부·서부·남부·북부·중부·수성·달서·달성·영천·경산·칠곡·성주·고령·청도경찰서)다. 대구지검 산하에는 안동·경주·포항·김천·상주·의성·영덕지청이 있다.

대구·경북을 모두 관할하는 대구고검은 1908년 대구공소원 검사국이란 이름으로 개청했고, 1947년 대구고검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그 해 11월9일 이우익 검사장이 초대 검사장으로 취임했다.

100년의 역사를 가진 대구검찰은 숱한 인물을 배출했다.

대구지검에만 50명의 검사장이 부임했고, 대구고검은 37명의 검사장이 인연을 맺었다. 지검장과 고검장을 거친 인물 가운데 법무부 장관 7명, 검찰총장 13명, 대법관 4명, 헌법재판소 재판관 3명 등이 배출됐다.

대구고검 초대 검사장이던 이우익씨가 50년 법무부장관에 발탁된 이후 배영호(대구고검 5대 검사장)·김성기(15대)·김기춘씨(18대), 이선중(대구지검 14대 검사장)·김기춘(29대)·최경원씨(38대) 등이 법무부 수장에 올랐다.

검찰총장에는 서정국(대구고검 2대 검사장)·정창운(4대)·오탁근(11대)·김종경(12대)·김기춘(18대)·박종철(21대)·박순용(29대)·송광수(33대)·정상명(35대)·이선중(대구지검 14대 검사장)·김기춘(29대)·박종철(31대)·송광수씨(43대) 등이 발탁됐다. 대구고·지검장을 모두 거치고 총장에 오른 사람만도 김기춘·송광수씨 등 2명이나 된다.

대법관에는 주운화(대구고검 9대 검사장)·강우영(대구지검 23대 검사장)·지창권(35대)·강신욱씨(40대), 헌법재판소 재판관에는 정경식(대구고검 24대 검사장)·송인준(30대)·정경식씨(대구지검 33대 검사장) 등이 발탁됐다. 최근 대법관 후보로 추천된 안대희 서울고검장도 송광수 전 검찰총장이 대구지검장 시절 차장을 지냈다.

현직 검사장 가운데도 대구검찰에 근무한 사람이 많다.

박상길 대전고검장, 문효남 의정부지검장, 이승구 서울서부지검장, 김상봉 제주지검장, 김수민 법무부 보호국장, 이귀남 대검 공안부장, 조근호 대검 공판송무부장, 김태현 대검 감찰부장, 이한성 서울고검 차장, 박용석 대전 고검차장 등이 대표적이다.

대구검찰은 최근 들어서도 전국 검찰의 중심에 섰다. 6시그마 운동이 그것이다. 이 운동은 품질혁신과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해 실행하는 21세기형 기업경영전략이다. 1980년대 말 미국의 모토로라(Motorola)에서 품질혁신 운동으로 시작된 이후 국내에서도 삼성·LG그룹·한국중공업 등에서 도입했다. 궁극적인 목표는 품질개선 운동에 전 종업원이 참여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질을 높이고 업무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정상명 검찰총장과 정동기 대구고검장이 각각 대구고검장과 대구지검장 시절 도입한 이 운동은 검찰조직의 '효율성 극대화'란 과제를 던졌다. 마침내 대검찰청도 이 운동을 전국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대검 산하에 팀을 신설하기에 이르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