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60225.010080734550001

영남일보TV

도청신도시의 ‘불편한 그림자’

2016-02-25

경북 신도청 주변에 조성되는 신도시를 바라보는 안동·예천 지역민의 시선이 마냥 즐거워 보이지 않는다. 이전 기관 직원들이 대구에서 통근하거나 가족과 떨어져 혼자 신도시로 옮겨오면 반쪽 활성화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신도시가 일찍 뿌리를 내려도 걱정이다. 경계지점에 있는 안동 원도심과 예천 중심지의 슬럼화가 불가피하다는 시각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반쪽 활성화
‘출퇴근·나홀로이주’ 공무원 많아
주말마다 무인도시로 전락 우려

◇원도심 쇠퇴
경제권 이동으로 상업지구 몰락
도시재생계획 조속히 추진해야

◆걱정되는 반쪽 활성화

지난해 8월 경북도가 도청과 도소방본부, 도의회 사무처 등 공무원 1천7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65%는 ‘도청이 이전하더라도 당분간 출퇴근을 하겠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79%는 이사를 계획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혼자 이주하겠다’고 답한 공무원이 68.2%나 됐다.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났듯이 아직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신도시의 정주여건은 반쪽 활성화의 개연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경북도는 신도시로 이전하는 기관·단체 직원은 모두 5천명이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전 전까지 입주할 수 있는 신도시 아파트는 489가구 1곳과 공무원 임대 아파트 1곳(가족형 349가구, 원룸형 296실) 등이 전부다. 2016년 입주를 할 수 있는 물량도 790여가구에 불과하고 신도시에 분양한 나머지 아파트 3천700여가구는 2017년 하반기가 돼야 입주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신도청 부근에는 단 한 곳의 식당과 편의시설도 없다. 이곳으로 이사한 직원들은 하루 세 끼를 신청사 구내식당에서 해결해야 한다. 직원끼리 소통의 자리를 만들거나 지인 등을 만나기 위해서는 차량으로 적어도 10~20분가량 이동해 안동 시내나 예천 읍내 등으로 나가야 하는 게 현실이다. 이와 함께 신도시에 조성된 공무원 임대 아파트와 안동시 일원에 조성된 원룸의 임대료가 턱없이 높은 것도 공무원이나 유관 기관 관계자들의 이주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이 지속되면 신도시에 가족을 동반하지 않는 공무원만 살게 되고 주말마다 ‘무인도시’로 전락해 북부지역 경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도심 ‘슬럼화’도 걱정

도청 이전이 안동과 예천의 기존 도심을 공동화시킬 것이라는 걱정이 지역민 사이에서 일고 있다. 일정한 경제력을 갖춘 공무원들이 신도시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만큼, 경제생활 중심이 기존 도심에서 신도시로 이동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인구 이동이 뒤따르고 결과적으로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면 안동의 경우 삼산·정하·옥동 등 3개 권역으로 나뉜 지역의 주요 상업지구의 쇠퇴는 불가피하다. 예천읍 도심 역시 안동과 상황은 비슷해진다. 때문에 안동을 비롯한 북부지역에 도청 이전이 신성장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발전계획이 아니라 도시 간 발전 시너지를 유발하기 위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조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도시재생 관련 전문가들은 “다른 지역 사례에 비추어봤을 때 도시발전축이 신도시로 이동하게 되면 원도심 기능이 상실되면서 상권이 몰락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원도심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도시재생분야 인력을 확충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안동시는 2014년 부터 도시재생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중구동 등 원도심을 대상으로 정주환경 개선을 하고 있다. 또 도시공간재창조 프로젝트로 도심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사업, 한옥마을 조성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다.

예천군도 도청 이전을 앞두고 도심 공동화 현상을 막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예천읍 도심에 형성된 음식상가를 명품특화거리로 바꾸는 ‘맛고을 문화의거리’ 조성에 나섰다.

김도선 안동시 도시재생팀장은 “전문가, 주민 등과 함께 머리를 맞대 원도심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유선태기자 youst@yeongnam.com

이두영기자 victor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유선태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이두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