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 추진
산업부·현대차 등과 업무협약
진단·성능평가 시스템 등 계획
경북도가 포항에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조성을 추진한다. 도는 26일 제주 JTP디지털융합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제주도·현대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사용후 전기차 배터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중앙부처·지자체·자동차 업계가 협력해 시장형성 단계인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을 육성하는 첫 사례다.
협약엔 배터리 시장 육성을 위한 각 주체들의 역할이 담겨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재활용을 포함한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고 환경부는 배터리 속 유가금속 회수 등 재활용 체계를 구축한다. 경북도는 배터리 재활용, 제주도는 배터리 재사용, 현대차는 사용 후 배터리를 경북과 제주에 납품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모델을 발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배터리를 분리·분류·파쇄해 리켈·망간 등 해외에서 전량 수입하는 소재를 추출, 2차 전지 생산업체에 다시 판매하게 된다. 제주도는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시스템(ESS·Energy Storage System)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지난 5월3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규제자유특구 사업아이템으로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신청서를 제출했다. 선정은 다음달 말이다. 도는 규제자유특구에 선정될 경우 포항 1사 일반 산업단지와 포항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재정 지원 및 규제완화 조치에 나선다. 특히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에 배터리 성능평가센터를 설치해 배터리 반납업무를 대행, 수집된 배터리에 대한 진단·성능평가 기술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특구에 차세대 배터리 파크를 조성하고, 향후 포스텍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기반 및 배터리 생산·리사이클링으로 이어지는 이차전지 산업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제2의 반도체로 불리는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해 배터리 리사이클링·배터리 소재산업·배터리 완제품·전기차 생산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Value Chain)을 경북에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