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청년 인구 감소가 매우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2030 청년 세대(MZ세대) 인구 감소는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군위군·의성군 등 경북권의 청년세대 감소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다. 통계·기업분석 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최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올해 10월까지 20~39세 인구 증감을 분석한 결과다.
전국적으로 20∼39세 인구는 2018년 1천409만4천명에서 올해 1천343만1천명으로 66만2천명(4.7%)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국내 총인구는 5천182만6천명에서 5천166만2천명으로 16만4천명(0.32%) 줄었다. 인구 감소율만 놓고 보면 2030세대의 감소폭이 전체 인구 감소 폭의 15배에 달한다. 대구·경북 2030 청년층 수는 2018년 126만8천490명에서 올해 115만7천63명으로 8.8%(11만1427명) 줄었다. 같은 기간 경북과 대구의 총인구는 513만8천600명에서 501만8천646명으로 2.3%(11만9954명) 감소했다. 경북과 대구를 나눠 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경북의 MZ세대 감소율은 9.8%, 대구는 7.8%나 됐다. 특히 경북의 2030 청년 세대의 인구 감소율은 울산(-11.1%), 경남(-10.3%)에 이어 셋째로 높았다. 82개 군 단위 지자체 가운데 군위군(11.4%)과 의성군(11.6%)의 MZ세대 인구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청년 인구가 감소한 것은 일자리 감소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2030세대 인구가 증가한 불과 15개 시 중 강원도 원주를 제외한 14곳이 일자리가 풍부한 과천, 하남, 평택 등 수도권이었다. 결국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청년들을 지역에 정착하도록 하는 최선의 해법은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는 것임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 공기업 지방할당제를 보다 확대하는 등 청년들의 지방 정착을 견인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추진되길 기대한다. 여기에 결혼과 출산, 자녀 교육을 지원하는 토털케어로 지방 젊은 층의 인구 감소 속도를 늦추거나, 다시 순증세로 되돌려야 한다. 지역 존립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사항이다.
전국적으로 20∼39세 인구는 2018년 1천409만4천명에서 올해 1천343만1천명으로 66만2천명(4.7%)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국내 총인구는 5천182만6천명에서 5천166만2천명으로 16만4천명(0.32%) 줄었다. 인구 감소율만 놓고 보면 2030세대의 감소폭이 전체 인구 감소 폭의 15배에 달한다. 대구·경북 2030 청년층 수는 2018년 126만8천490명에서 올해 115만7천63명으로 8.8%(11만1427명) 줄었다. 같은 기간 경북과 대구의 총인구는 513만8천600명에서 501만8천646명으로 2.3%(11만9954명) 감소했다. 경북과 대구를 나눠 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경북의 MZ세대 감소율은 9.8%, 대구는 7.8%나 됐다. 특히 경북의 2030 청년 세대의 인구 감소율은 울산(-11.1%), 경남(-10.3%)에 이어 셋째로 높았다. 82개 군 단위 지자체 가운데 군위군(11.4%)과 의성군(11.6%)의 MZ세대 인구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청년 인구가 감소한 것은 일자리 감소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2030세대 인구가 증가한 불과 15개 시 중 강원도 원주를 제외한 14곳이 일자리가 풍부한 과천, 하남, 평택 등 수도권이었다. 결국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청년들을 지역에 정착하도록 하는 최선의 해법은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는 것임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 공기업 지방할당제를 보다 확대하는 등 청년들의 지방 정착을 견인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추진되길 기대한다. 여기에 결혼과 출산, 자녀 교육을 지원하는 토털케어로 지방 젊은 층의 인구 감소 속도를 늦추거나, 다시 순증세로 되돌려야 한다. 지역 존립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사항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