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0117010002004

영남일보TV

"울진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재개, 경주에 SMR 특화 국가산단 조성" 경북 원자력 복원 프로젝트 주목

2022-01-18

대선과제로 제시

2022011701010005549_p1
이철우 경북도지사(사진 왼쪽 두번째)와 이희진 영덕군수(사진 왼쪽 첫번째), 주낙영 경주시장(사진 오른쪽 두번째), 전찬걸 울진군수(사진 오른쪽 첫번째)가 17일 이준석 국민의 힘 당대표를 만나 '정부 탈원전 정책에 따른 경북 피해지역 보상대책 마련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전달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17일 원전피해대책 촉구 건의서를 정부에 전달하면서 각 정당 대선 후보자의 선거공약 반영을 위해 마련한 '경북도 원자력 복원 프로젝트'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이날 발표된 원전 피해보상 대책 외에 △울진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재개 △경주에 SMR(소형 모듈 원전) 특화 국가산단 조성 △원전 활용 수소생산·수출 국가산단 조성이 포함돼 있다.

우선 신한울 원전3·4호 기 건설사업( 총 사업비 8조 2천618억 원)은 2016년 12월 울진군 북면 덕천리·고목리 일대에 추진키로 했으나, 1년 뒤에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확정되면서 중단됐다. 이에 사전 제작비(7천790억 원)와 부지매입( 168만5천 여㎡·51만 평)에 많은 매몰비용이 발생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두 원전은 2017년 8월 동시 착공해 3호기는 올 9월 말, 4호기는 내년 9월 말 준공 예정이었다.

하지만 현 정부는 건설재개 여부를 차기 정권으로 떠넘기면서 울진에는 세수부족 뿐 아니라 인구도 2017년 5만974명에서 지난해 말 4만7천858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원전산업 생태계가 위협받자 울진군민은 건설재개를 위해 범국민 서명운동(2019년 3월 기준 43만 6천812명)도 벌였지만 정부는 귀담아 듣지 않았다.

원전건설이 탈(脫)원전 기조에 가로막히면서 경북도는 한국형 '소형 모듈 원전(SMR)'로 눈길을 돌렸다. 이미 세계 16개국(71종)이 SMR 연구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도는 대형원전 중심에서 탈피, 분산 전원 공급과 그린 수소 생산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분야로 원전 산업 틀을 바꾸고 싶어 한다. 그 일환으로 경주에 SMR 특화 국가산단 조성(사업비 5천800억 원) 카드를 빼들었다. 오는 2030년까지 SMR 관련 소재·부품·장비 기업을 육성하고, 원전 기업들을 대거 집적화할 수 있도록 정부에 도움을 손길을 내밀었다.

울진에 SMR 원전을 활용한 그린 수소 생산단지를 조성(총 사업비 1조 원)하는 것도 원자력복원프로젝트의 핵심사업 중 하나다. 2019년 1월 정부의 수소경제 정책 발표 및 2020년 12월 대량 수소생산을 위한 고온가스로 개발 추진 청사진이 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거론됐다.

도가 구상하는 SMR발 신(新) 원전생태계는 원자력 활용 그린수소 생산·실증단지 조성과 수출을 염두에 둔 원자력 수소 특화 국가산단 조성사업이 큰 줄기를 형성한다. 그린수소 공급망 구축 및 원자력 수소생산 수출모델 확보가 주된 목표다. 이중 그린 수소 생산·실증단지는 수소 생산·저장·운반·활용 등 연관 산업 육성과 산·학·연 공동연구를 위한 '첨단원자력 융합연구센터' 설립(2024년 준공 목표), 수소 환원 제철 관련 내용이 포함돼 있다. 기술 표준화와 인력양성도 동반된다. 값싸고 탄소배출이 없는 원자력 수소 생산기반을 갖춰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디딤돌을 경북이 놓겠다는 바람이 녹아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