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1 지방선거 하루 전인 31일 대구 북구의 한 원룸 입구에 확인하지 않은 선거공보물이 우편함에 그대로 꽂혀있다. 이남영기자 |
6·1 지방선거 출마자들의 선거 공보물 처리가 시민들의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시민들은 공보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버려지는 공보물에 대한 예산 낭비와 환경 문제를 우려했다.
선거 공보물은 출마 후보자의 약력·공약 및 투표소 위치 등이 정리된 것으로, 전단형·책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대구에서도 6·1 지방선거 공보물은 선거운동 시작과 함께 지난 21∼22일 각 가정으로 배부됐다. 31일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책자형 선거 공보물을 기준으로 대구시민들에게 총 106만7천122부의 공보물 봉투가 발송됐다. 공보물은 무투표 당선자와 공보물 미배포 후보자 등 지역에 따라 양도 제각각이다.
보궐선거가 함께 치러지는 대구 수성구을 지역의 경우 최대 여덟가지의 공보물이 배부되는 등 넘쳐나는 공보물로 시민들은 필요성을 느끼지만 공보물이 자칫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을 제기했다. 실제 선거를 하루 앞둔 31일 오전 10시쯤 대구 북구의 한 원룸촌에서는 우편함에 방치된 공보물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우편함에는 열흘이 지나도록 확인하지 않은 채 방치된 공보물이 절반 이상이 꽂혀 있었다. 대구시내 곳곳에는 출마자의 명함은 물론 공보물 등이 아무렇게나 버려져 쓰레기로 전락한 경우도 적지않다.
이날 원룸촌에서 만난 직장인 손모(28·대구 북구)씨는 "막상 공보물을 받으니 읽지 못한 채 뒷전으로 미뤄놓다가 결국 선거 당일 아무에게나 투표하고 공보물을 버렸던 기억이 많았다. 괜히 종이가 아깝고, 읽을 사람에게만 나눠주는 등 효율적인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공보물에 대한 혈세 낭비와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한다. 지난 2월 녹색연합은 올해 치르는 두 번의 선거로 제작된 홍보물의 양을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추산한 결과, 2만8천084t이 배출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는 5억4천만 개의 플라스틱 1회용 컵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량과 맞먹는다.
또한 공보물 발송과 폐기 처리 등 비용도 국민들의 '혈세' 낭비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원룸촌에 산 지 2년이 넘었다는 대학생 이모(여·24·대구 북구)씨는 "대구에 전입신고를 했고, 모든 우편물이 거주하는 집으로 오고 있어서 한 번에 후보자들의 이력을 볼 수 있는 공보물을 기다렸지만, 결국 공보물을 받지 못했다"며 "공보물을 보고 싶은 사람은 못 보고, 보지 못한 사람은 버리는 상황 자체가 혈세 낭비가 맞다고 본다. 전자공보물, 우편공보물 등 유권자가 공보물을 열람할 선택권을 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공보물 형태와 배포 방식 등에 대한 변경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선관위는 공보물 제작 및 배포가 선거법 65조에 따라 이뤄지기 때문에 출마자나 선관위 측이 별도의 공보물 형식을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을 이유로 밝혔다.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공보물 제작 및 배포는 법안에 따르기 때문에 선관위 측이 임의로 변경을 하기엔 어려운 부분도 있다. 유권자들이 공보물 변형 등에 대한 의견이 많다면 관련 법안 개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 보겠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선거뿐 아니라 향후 선거 출마자들의 환경적 인식 개선과 재활용 재료로 제작한 공보물 등을 주장했다.
전관수 영남대 교수(환경공학과)는 "출마자들이 홍보를 위해 제작하는 공보물, 현수막을 합성섬유가 아닌 재활용 용지, 무명 등을 활용하면 환경적인 측면을 생각하면서도 보다 좋은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또, 선거관리위원회 등 관계 당국에서 환경 관련 캠페인을 시행하는 것도 향후 공보물 제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