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계청 제공> |
올해 2분기 제조업 제품의 국내 공급이 수입 증가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5% 증가했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지수(잠정치)는 112.7로 지난해 2분기(111.0)보다 1.5% 늘었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돼 국내로 출하됐거나 외국에서 생산돼 국내로 유통된 제조업 제품의 실질 공급금액을 지수화한 것으로 내수 동향을 나타낸다. 공급지수는 지난해 1분기를 시작으로 올해 2분기까지 6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2분기 국내 공급 중 국산은 1.4% 줄었으나 수입이 8.6% 증가했다. 이에 수입 비중은 1년 전보다 2.0%포인트 상승한 30.7%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역대 최대다.
업종별는 자동차 공급이 1년 전보다 2.5% 증가하며 4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공급망 교란 등으로 한동안 주춤했으나 공급난이 완화된 결과다. 반도체 D램 수입 증가로 전자제품은 15.5% 늘었고, 코로나19 재확산 등 영향으로 의약품은 17.1% 공급이 증가했다. 반면 금속 가공은 주방용품 등 수요 감소 탓에 9.4% 줄어 14 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재화별로는 최종재 국내 공급은 1년 전보다 소비재(-0.4%), 자본재(-2.2%) 모두 감소해 1.1% 줄었다. 중간재 공급은 국산(-0.8%)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입(13.9%)이 늘어나며 3.4% 증가해 7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수입을 통해 완제품을 만든 다음 다시 수출하는 산업 구조화로 중간재 공급이 늘어나는 것 같다"고 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