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9일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물가상승·수출회복세 제약 등으로 향후 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간한 '8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대외여건 악화 등으로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경제심리도 일부 영향을 받는 가운데 향후 수출회복세 제약 등 경기둔화가 우려된다"라고 밝혔다. 지난 6월 이후 석 달 연속으로 ' 경기 둔화' 가능성이 언급된 것이다.
이어 기재부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의 금리인상 기조, 미국·중국의 성장 둔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글로벌 경기 하방위험이 지속 확대됐다"라고 말했다.
물가 상승의 주 원인으로는 미국의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이 지목됐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지난 6월의 경우 미국이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하면서 금융·주식시장 불안과 전반적 물가상승 확대가 가계 소비심리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라며 "다만 7월의 경우 소비자심리지수를 조사하는 표본 개편에 따른 변동성 확대도 작용한 측면도 있다고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국 경제의 핵심 동력인 수출 전망도 밝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승한 과장은 수출 전망을 묻는 질문에 "당초 하반기부터는 중국의 코로나 방역 규제가 완화되면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봤으나 7월 매판매, 산업활동지수 등이 시장 예상보다 굉장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대중 수출 부진이 이어질 가능성이 굉장히 있다"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경기둔화 우려는 수출에 대한 제약요인, 반도체 가격단가 하락에 따른 것으로, 이 부분을 예의주시하면서 수출에 나타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라고 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