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태풍 '힌남노'에 대비해 통상적인 태풍 대비책과는 다른 훨씬 더 강력한 방재 대책인 '전 공정 가동중단'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수립해 더 큰 피해를 막았다고 주장해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의 이런 움직임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태풍 힌남노가 충분히 예보된 상황에서도 큰 피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중점적으로 따져보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포스코 경영진의 책임론을 일축하기 위한 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 14일 '철강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 TF'를 운영하는 한편 민관합동 철강수급 조사단을 구성해 피해상황 파악과 현장 복구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히면서 "태풍 힌남노가 충분히 예보된 상황에서도 이런 큰 피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중점적으로 따져보겠다"고 했다.
정부의 이같은 조치를 두고 이번 태풍 피해가 포스코가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던 인재(人災)는 아니었는지 등을 면밀히 조사해 책임을 묻겠다는 취지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포스코는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철소 전체 정전과 침수에 의한 2차 사고로 화재, 폭발, 인명피해 등 치명적인 사고 예방을 위해 포항제철소 가동 이래 처음으로 태풍이 오기 전부터 전 공정 가동중단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전에 전 공정 가동을 중단하지 않았다면 갑작스런 정전으로 인해 고로의 경우 송풍 설비가 정지하면서 쇳물이 외부로 역류해 화재와 폭발이 발생할 수 있었다"며 "제강공장 역시 쇳물을 담는 용기인 래들이 흔들려 공장 바닥으로 유출돼 대형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또 "압연공장에서도 가열로 내부에서 슬라브(철강 반제품)가 휘어버리고, 내화물이 손상돼 장기간 조업 재개가 어려워 질 수 있었다"며 "지하에 침수된 압연공장의 모터들도 가동 중이었다면, 재생 불가능한 상태로 망가져 압연공장의 복구는 기약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침수 피해는 냉천의 범람이 발생하기 전에는 미미했으나, 새벽에 갑작스럽게 냉천의 급격한 범람이 발생해 대량의 토사와 하천수가 일시에 제철소 내부로 밀려 들어 사람 키 높이로 공장들이 물에 잠겨 버렸고, 급기야 제철소 전체의 정전이라는 초유의 위기 상황을 유발했다"고 밝히며 자연재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전 공정 가동중단이라는 강력한 사전대비로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고, 임직원들의 복구 총력으로 3개월내 단계적으로 압연공장 대부분을 정상 가동한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