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힌남노'로 49년 만에 포항제철소 공장 가동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고 있는 포스코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 포스코는 이번 태풍 피해로 170만t의 제품생산 차질과 2조400억원 규모의 매출 감소를 예상하며, 올 연말까지 포항제철소를 완전 정상화하는데 전력을 쏟고 있다. 이 때문에 포스코 및 그룹사와 협력사 직원들은 휴일도 없이 복구작업에 매달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집권 여당이 태풍 피해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며 포스코를 압박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4일 "태풍이 예보된 상황이었음에도 이런 피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따져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틀 뒤에는 국민의힘 성일종 정책위 의장도 "포스코는 지진이나 태풍 등에 언제든 노출될 수 있는 입지이며, 특히 바로 옆에 있는 냉천이 하류로 갈수록 급격히 수량이 많아짐에도 불구, 예측도 대비도 되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부와 여당이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의 책임을 기업에 돌리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경제계에서는 정부와 여당의 포스코 압박이 결국에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체제를 흔들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회장이 교체되는 '흑역사'를 갖고 있는 포스코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외환으로 볼 수 있다. 포스코는 태풍 전, 공장 가동 중지 등과 같은 특단의 조치를 취해 더 큰 피해를 막았다며 정부 여당의 압박에 적극 대응하는 모양새다. 이번 산업부의 태풍 피해 조사가 포스코 지배구조 교체와 어떤 연관이 있을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마창성 동부지역본부 부장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4일 "태풍이 예보된 상황이었음에도 이런 피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따져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틀 뒤에는 국민의힘 성일종 정책위 의장도 "포스코는 지진이나 태풍 등에 언제든 노출될 수 있는 입지이며, 특히 바로 옆에 있는 냉천이 하류로 갈수록 급격히 수량이 많아짐에도 불구, 예측도 대비도 되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부와 여당이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의 책임을 기업에 돌리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경제계에서는 정부와 여당의 포스코 압박이 결국에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체제를 흔들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회장이 교체되는 '흑역사'를 갖고 있는 포스코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외환으로 볼 수 있다. 포스코는 태풍 전, 공장 가동 중지 등과 같은 특단의 조치를 취해 더 큰 피해를 막았다며 정부 여당의 압박에 적극 대응하는 모양새다. 이번 산업부의 태풍 피해 조사가 포스코 지배구조 교체와 어떤 연관이 있을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마창성 동부지역본부 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