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 임직원이 자금을 횡령한 규모가 최근 5년여간 1천억원을 넘었지만 환수율은 3분의 1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에게 제출한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을 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은행·저축은행·보험·카드·증권 등 금융사에서 횡령한 임직원은 181명으로, 횡령 금액은 1천192억3천900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7년 89억8천900만원(45명), 2018년 56억6천800만원(37명), 2019년 82억8천400만원(28명), 2020년 20억8천300만원(31명), 2021년 151억2천400만원(20명)이었다.
우리은행에서 700억원대 횡령이 발생한 올해는 8월까지 790억9천100만원(20명)으로 집계됐다.
업권별 횡령 임직원 수는 은행이 97명(53.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보험 58명(32.0%), 증권 15명(8.3%), 저축은행 8명(4.4%), 카드 3명(1.7%) 등 순이다.
횡령액 규모는 은행이 907억4천만원(76.1%)으로 가장 많았고, 저축은행(149억7천140만원), 증권(86억9천600만원), 보험(45억7천500만원), 카드(2억5천600만원) 순으로 많았다.
업권별 횡령 임직원 수가 가장 많은 은행은 하나은행(18명)이었고, 보험은 동양생명(8명), 저축은행은 참저축은행(2명), 증권사는 NH투자증권(4명)이었다.
횡령 규모는 우리은행이 716억5천710만원으로 금융업권 전체를 통틀어 가장 컸다.
보험사중에선 KB손해보험(12억300만원)이, 카드사에선 우리카드(2억5천100만원), 저축은행중에는 KB저축은행(77억8천320만원), 증권사에선 NH투자증권(40억1천200만원)이 가장 횡령규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직원 횡령은 지속되고 있지만 환수 실적은 저조했다. 700억원대에 달하는 올해 우리은행 횡령 사건 등을 제외한 2017∼2021년 횡령액 총 401억4천800만원 중 환수액은 127억800만원으로, 환수율은 31.7%에 그쳤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권 직원의 횡령 사고가 대출 서류 위조, 계약자 정보 무단 도용 및 변경, 외부 수탁업체에 대한 관리 소홀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