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남일보DB |
정부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대상을 축소하는 방안을 두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 중이라고 밝혔다.
21일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브리핑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질병관리청이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비롯한 여러 단위에서 의견들을 모으면서 검토를 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중수본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주요 국가 중 실내 모든 시설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국가는 우리나라와 이집트 뿐이다. 단 이집트의 경우 2020년 5월30일에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 이후 별다른 조치가 없는 상황이고, 대부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며 당국에서 단속도 없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의료시설과 사회복지시설, 대중교통 등 한정적인 공간에서만 실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포르투갈, 폴란드, 이스라엘, 뉴질랜드 등은 대중교통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이탈리아와 말레이시아는 사회복지시설에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적용되지 않는다.
손 반장은 "실내 마스크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는 중"이다. 질병관리청에서 어느 정도 논의가 정리가 되면 그 내용을 밝힐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조만간 정부가 실내 마스크 의무 완화 방안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르면 다음달 7차 유행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점은 변수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유행 정도를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가 1.09로, 9주 만에 1을 넘었다. 오늘 코로나 확진자는 2만4000명대로 5주 연속 2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수치화한 지표인 감염재생산지수는 1이상이면 유행이 확산하고 1미만이면 유행이 억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용덕기자 sydkjs@yeongnam.com

서용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