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년간 국비 6천억원 투입
피해기업 설비 복구·산단 재정비
철강산단 재해 예방 인프라 구축
긴급경영안정자금 최대 지원도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를 본 경북 포항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포항시를 2년간(2022년 10월31일~2024년 10월30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31일 밝혔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제도는 올해 2월 시행된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8조에 근거를 둔다. 이번 포항시에 대한 지정이 첫 번째이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범정부 차원의 집중 지원을 받는다. 특히 태풍으로 큰 피해를 본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의 재건과 침체한 지역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피해기업 설비 복구비 △경영안전자금 △산업단지 기반 재정비 △철강산단 구조전환 촉진 등 17개 사업에 6천396억원을 지원받는다.
또 긴급경영안정자금 최대 지원,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금융 지원을 받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기본 지원비율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과 동일 수준으로 조정하게 된다.
아울러 철강산업 회복력 강화와 구조 전환, 신산업화 촉진을 위해 △기업 위기 극복 지원 △철강산업단지 재해 예방 인프라 구축 △단기 R&D 및 사업화 △철강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국회 심의과정에서 예산 반영 후 지원내용이 확정된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이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이끌어온 포항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다시금 활력을 얻어 재도약할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중앙부처와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예산 확보에 적극 대처 등 신속·원활한 복구를 위해 전 행정력을 동원해 나갈 계획이다.
철강산단 관계자는 "기업들은 막대한 피해를 봤음에도 재난지원금 지급을 비롯한 직접적 피해 지원이 없어 시설·장비 복구, 인건비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통해 하루빨리 지역 철강산업을 비롯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항시는 경주시와 함께 지난 9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요건을 갖췄다. 태풍 힌남노로 포항에서는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비롯해 현대제철 포항공장 등 400여 개 기업이 침수, 건물 파손, 토사 유출 등의 피해를 봤다.
포항제철소 조업 정상화에 최소 3개월이 걸려 협력업체와 중소기업 등은 막대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1973년 쇳물을 생산한 이래 처음으로 조업이 중단됐다.
포항지역 산업에서 제조업이 39.8%를 차지하고, 제조업 가운데 1차 금속이 출하량 기준으로 84.6%를 차지하는 등 포항에서는 철강산업 비중이 절대적이다.
이강덕 시장은 "천문학적인 태풍피해를 본 철강공단 기업체와 시민의 부담을 덜어냄으로써 국가기간산업이 흔들리지 않고 굳건히 제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중앙정부, 경북도와 긴밀히 협의해 시급한 지원사업들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대응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포항시를 2년간(2022년 10월31일~2024년 10월30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31일 밝혔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제도는 올해 2월 시행된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8조에 근거를 둔다. 이번 포항시에 대한 지정이 첫 번째이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범정부 차원의 집중 지원을 받는다. 특히 태풍으로 큰 피해를 본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의 재건과 침체한 지역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피해기업 설비 복구비 △경영안전자금 △산업단지 기반 재정비 △철강산단 구조전환 촉진 등 17개 사업에 6천396억원을 지원받는다.
또 긴급경영안정자금 최대 지원,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금융 지원을 받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기본 지원비율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과 동일 수준으로 조정하게 된다.
아울러 철강산업 회복력 강화와 구조 전환, 신산업화 촉진을 위해 △기업 위기 극복 지원 △철강산업단지 재해 예방 인프라 구축 △단기 R&D 및 사업화 △철강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국회 심의과정에서 예산 반영 후 지원내용이 확정된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이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이끌어온 포항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다시금 활력을 얻어 재도약할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중앙부처와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예산 확보에 적극 대처 등 신속·원활한 복구를 위해 전 행정력을 동원해 나갈 계획이다.
철강산단 관계자는 "기업들은 막대한 피해를 봤음에도 재난지원금 지급을 비롯한 직접적 피해 지원이 없어 시설·장비 복구, 인건비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통해 하루빨리 지역 철강산업을 비롯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항시는 경주시와 함께 지난 9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요건을 갖췄다. 태풍 힌남노로 포항에서는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비롯해 현대제철 포항공장 등 400여 개 기업이 침수, 건물 파손, 토사 유출 등의 피해를 봤다.
포항제철소 조업 정상화에 최소 3개월이 걸려 협력업체와 중소기업 등은 막대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1973년 쇳물을 생산한 이래 처음으로 조업이 중단됐다.
포항지역 산업에서 제조업이 39.8%를 차지하고, 제조업 가운데 1차 금속이 출하량 기준으로 84.6%를 차지하는 등 포항에서는 철강산업 비중이 절대적이다.
이강덕 시장은 "천문학적인 태풍피해를 본 철강공단 기업체와 시민의 부담을 덜어냄으로써 국가기간산업이 흔들리지 않고 굳건히 제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중앙정부, 경북도와 긴밀히 협의해 시급한 지원사업들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대응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마창성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