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1111001017282

영남일보TV

'CPI 둔화' 나스닥 7.35% 폭등, 코스피·코스닥 상승·환율 급락

2022-11-11 10:27
나스닥.jpg
네이버 증권정보 캡처
뉴욕증시는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소식에 폭등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01.43포인트(3.70%) 오른 3만3715.3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07.80포인트(5.54%) 상등한 3956.3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60.97포인트(7.35%) 폭등한 1만1114.15에 각각 장을 마감,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이날 다우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대폭 상승했고,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의 상승폭은 2020년 4월 이후 가장 컸다.

뉴욕 증시가 급등한 것은 미 CPI 상승폭이 둔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10월 CPI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7.7% 올랐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대로 떨어진 것은 2월(7.9%) 이후 처음이다. 상승률은 올해 1월 기록한 7.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7.9%)도 밑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6.3%, 지난달보다 0.3%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시장 예상치(6.5%)와 9월 상승률(6.6%)을 하회한다. 

이에 미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12월에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을 80% 이상으로 CPI 발표로 하루 전 56.8%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은 전날 43%대에서 이날 19%대로 크게 하락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기대감이 번지면서 증시에 훈풍을 몰고 온 것으로 분석된다.

코스피.jpg
10월 11일 오전 10시08분 하나은행 기준. 출처:네이버
한편, 미국 물가상승률이 사전 예상치를 밑돌면서 11일 코스피도 장 초반 3% 가까이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 8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71.02포인트(2.96%) 오른 2,473.25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64.67포인트(2.69%) 오른 2,466.90으로 출발해 장 초반 한때 2,482.05까지 올랐다가 2,470대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이 5825억 원 어치, 외국인이 2506억 원 어치를 쓸어 담으며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다. 개인은 8054억 원 어치를 순매도 중이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0.05포인트(2.83%) 오른 727.83이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30.0원 급락한 달러당 1,347.5원에 출발했다.
서용덕기자 sydkjs@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